검색 상세

대학생의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과 우울, 자살생각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Relative Deprivation through SN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ollege Students

초록/요약

대학생이 속해 있는 20대의 자살로 인한 사망률은 2017년부터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며, 해당 연령대의 사망원인 중 지속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주요 우울 장애는 정상인의 20배가량 자살 위험도가 높아, 자살시도의 주요 위험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SNS를 통해 타인의 삶을 지켜보고 교류하는 기회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용자들은 잦은 상향 비교를 통하여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상대적 박탈감은 개인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자살생각을 높일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작용 여부와 SNS 이용빈도의 조절작용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자는 만 18세 이상의 서울, 수원, 아산 소재의 각 대학교에 재학 혹은 휴학 중인 대학생 중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수는 G*Power 3.1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했고, 무응답률과 탈락률을 고려하여 119명으로 정하였다. 설문 항목 중 자살생각은 구조화된 면담도구 ‘MINI’의 한국척도 중 ‘자살성(Suicidality)’항목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우울은 K-CESD-R으로 측정하였다.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은 김해인(2018)이 인용, 수정한 척도를 이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SNS 이용빈도는 이용량 및 접속 빈도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버전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비모수 검정,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한 다중 매개효과 분석 및 조절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자살생각에 있어서는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 상대적 박탈감은 A, B 대학교가 C 대학교보다 높게 나타났고,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우울 변수가 투입된 이후의 직접 효과에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지 못함으로써 우울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β1=0.844, p<0.001; β2=0.292, p<0.001). 성별을 통제하여 분석한 우울의 완전 매개 모형에서 각 경로에서의 SNS 이용빈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과 우울의 경로에서의 상호작용항은 유의미하였고,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로에서의 상호작용항 또한 유의미하여 각 경로에서의 SNS 이용빈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후속 연구를 통해 SNS를 통한 상대적 박탈감과 SNS 이용빈도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SNS 사용의 긍정적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학제 간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 frequ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deprivation through SN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ged 18 and over, currently enrolled or on leave from universities in Seoul, Suwon, and Asan, who use Instagram or Facebook. The number of subjects was determined using the G*Power 3.1 Program, considering the non-response rate and dropout rate, resulting in a total of 119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25.0 for frequency analysis and non-parametric tests, and multiple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PROCESS macro.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suicidal ideation, with females scoring higher than males. Relative deprivat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universities A and B compared to university C, and higher among non-smokers compared to smokers. When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deprivation through SNS and suicidal ideation, controlling for gender, the total effect was significant. However,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epression variable, confirming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β1=0.844, p<0.001; β2=0.292, p<0.001).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 frequency was analyzed in each pathway of the full mediation model of depression, controlling for gender.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relative deprivation through SN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as was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NS usage frequency on each pathwa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effective interventions to reduce the impact of relative deprivation through SNS and SNS usage frequency on suicide. Additionally, multidisciplinary discussions should be held on how to increase the positive effects of SNS usage.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3
3.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Ⅲ. 연구방법 14
1.연구설계 14
2.연구대상자 및 표본크기 14
3. 자료수집과정 14
4. 측정도구 15
5. 분석방법 17
6. 연구윤리 18
Ⅳ. 결과 19
Ⅴ. 논의 48
Ⅵ. 결론 55
참고문헌 57
부록 64
ABSTRACT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