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해 교사들이 어 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이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교사의 놀이 지원역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정한 연 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은 어 떠한가? 둘째, 영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과 놀 이지원역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안양시, 수원시, 의왕시, 군포시 소재 4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 종 3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은 비 교적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요인에서는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를 위한 개선 요구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은 높은 편이었으며 하위요인에 서는 놀이운영 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인식과 놀 이지원역량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 로 높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 영유아 교사들이 개방적 놀이재 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경우 놀이지원역량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해 영유아 교 사가 지닌 인식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놀이지원역량 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개방적 놀이 활성화와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의 증진에 필요한 교육적 시사 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영유아 중심의 놀이 8
2. 개방적 놀이재료 9
가. 개방적 놀이재료의 개념 및 특징 9
나.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의 교육적 가치 12
다.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역할 13
라. 개방적 놀이재료 관련 선행연구 15
3. 놀이지원역량 16
가. 놀이지원역량의 개념 및 필요성 16
나. 놀이지원역량의 구성요소 18
다. 영유아 교사의 역할과 놀이지원역량 21
라. 놀이지원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23
Ⅲ. 연구방법 25
1. 연구 대상 25
2. 연구 도구 28
가.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28
나. 영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29
3. 연구 절차 30
가. 예비조사 30
나. 본조사 31
4. 자료 분석 31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3
1. 영유아 교사의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인식 33
가. 전반적 인식 33
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35
1)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 35
2) 학력에 따른 인식 차이 37
3) 교직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 38
4) 직급에 따른 인식 차이 39
5) 교사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 41
2. 영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 42
가. 전반적 수준 42
나. 배경변인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46
1) 연령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46
2) 학력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48
3) 교직 경력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50
4) 직급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53
5) 실내외 자유놀이 시간에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 실시 여부에 따른 놀이지원역량 차이 55
3. 교사의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인식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57
Ⅴ. 논의 및 결론 60
1. 논의 60
가.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인식 60
나. 영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 62
다. 영유아 교사의 개방적 놀이재료를 활용한 놀이에 대한 인식과 놀이지원역량 간의 관계 65
2. 결론 67
3. 제언 68
참고 문헌 70
부 록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