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정도를 파악하고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32명과 여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부터 7월까지 온라인 구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학생의 부-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은 50점 만점 중 평균 35.61점,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25.83점,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은 39.06점,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24.83점이었고, 성역할 고정관념은 45점 만점 중 평균 15.29점, 성적자기주장은 75점 만점 중 평균 56.45점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부-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은 평균 34.90점,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27.21점,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은 40.04점,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25.43점이었고, 성역할 고정관념은 평균 12.47점, 성적자기주장은 평균 59.74점으로 나타났다. 2. 남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평균연령(t=2.70, p=.007), 전공(χ2=31.27,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역할 고정관념(t=3.84, p<.001)과 성적자기주장(t=-3.59, p<.001)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남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은 성관계 경험(t=2.01, p=.046)에 따라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성적자기주장은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19, p=.027),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r=-.27, p=.002)과 성역할 고정관념(r=-.43,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학생의 성적자기주장은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9, p=.001), 모-자녀 간 역기능적 의사소통(r=-.29, p=.001)과 성역할 고정관념(r=-.54,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경우 성관계 경험(β=0.16, p=.048), 성역할 고정관념(β=-0.43, p<.001)이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21%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β=0.30, p=.003), 성역할 고정관념(β=-0.55, p<.001)이 성적자기주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설명력은 37%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남학생은 성역할 고정관념, 여학생은 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성역할 고정관념을 고려하여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향상을 위한 성별 맞춤형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gender role stereotype and sexual assertivenes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S city.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267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answered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ere intercourse experience(β=0.16, p=.048) and gender role stereotype(β=-0.43, p<.001) among male students and mother-child open communication(β=0.30, p=.003) and gender role stereotype(β=-0.55, p<.001) among female students. This variables explained 21%, 37%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respectively. Conclusion: With this finding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apply gender-specific sexu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exual assertivenes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considering gender role stereotype for male students and op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gender role stereotype for female student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7
B.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영향요인 9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6
E. 윤리적 고려 16
F. 자료분석방법 17
Ⅳ. 연구결과 18
A. 남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비교 18
B.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의 차이 20
C. 남녀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적자기주장의 차이 22
D. 남녀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적자기주장 간의 관계 24
E.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Ⅴ. 논의 29
A.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성역할 고정관념 정도 29
B. 남녀 대학생의 성적자기주장 영향요인 31
Ⅵ. 결론 및 제언 34
참고문헌 3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