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저연차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among Less Experienced Nurs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저연차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1곳, 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는 저연차 간호사 중에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간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기관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 후 2023년 6월 29일부터 2023년 7월 18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박소희와 강지현(2015)이 개발한 한국형 간호사 근무환경 측정도구, Schlein과 Guerney (1971)가 개발하고 문선모(1980)가 번안, 장혜숙(2006)이 수정․보완한 대인관계능력 도구, Mitchell 등(2001)이 개발하고 Kim 등(2012)이 번안한 직무배태성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의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의 점수는 평균 3.38±0.54점이었으며, 하위요인 중에 ‘기관의 지원’이 3.46±0.5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의 점수는 평균 3.65±0.44점으로 하위요인 중에 ‘친근감’이 3.76±0.5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무배태성의 점수는 평균 3.28±0.70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에 ‘적합성’이 3.47±0.74점으로 가장 높았고, ‘희생’이 2.91±0.8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은 간호근무환경(r=.55, p<.001), 대인관계능력(r=.48, p<.001) 모두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부서(t=2.50, p=.013)와 임상수행능력(r=.27, p<.001)에서 직무배태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직무배태성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기관의 지원(β=.50, p<.001), 대인관계능력(β=.16, p=.029), 임상수행능력(β=.14, p=.024), 근무부서(β=-.13, p=.0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의한 직무배태성의 설명력은 41.3%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저연차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은 직무배태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배태성을 향상하기 위해 의료기관 규모별로 간호근무환경의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고려하여 병원기관의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적 특성에 적합한 부서에서 근무하며 임상수행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지적인 환경조성이 요구되며, 전문성 향상과 간호서비스의 질적향상을 위해 직무교육 시 대인관계능력 증대를 위한 지원프로그램이 함께 필요하다. 이는 저연차 간호사가 업무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임상실무경험과 내적 성숙함을 스스로 경험하여 숙련된 간호사로 자리잡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는 나아가 병원조직의 발전뿐만 아니라 환자안전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personal competenc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dness of less experienced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ir job embeddednes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tudy population was 185 less experienced nurses from a tertiary hospital and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who had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an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9th, 2023 to July 18th, 2023,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tools utilized were The Korean Nurse Work Environment Scale developed by So Hee Park and Ji Yeon Kang (2015).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Schlein and Guerney (1971), revised by Sun Mo Moon (1980), and further modified by Hye Suk Chang (2006). The Job Embeddedness Scale developed by Mitchell et al. (2001) and adapted by Kim et al.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rough IBM SPSS Statistics 23.0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degree of interpersonal competency was 3.65±0.44 points, within its subdomain ‘intimacy’ scoring the highest at 3.76±0.52 points. The average degree of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3.38 ± 0.54 points, and within its subdomain ‘institutional support’ had the highest score of 3.46 ± 0.52 points. The average degree of job embeddedness was 3.28±0.70 points, and within its subdomains, ‘fit’ had the highest score of 3.47±0.74 points, while ‘sacrifice’ had the lowest score of 2.91±0.80 points. 2. Among the subjects, job embedded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nursing work environment (r=.55, p<.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r=.48, p<.001).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subjec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r=.27, p<.001), and work department (t=2.50, p=.013), concerning job embeddedness. 4.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job embeddedness. The factors influencing job embeddedness were found to be institutional support (β=.50, p<.001), interpersonal competency (β=.16, p=.029),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β=.14, p=.024), work department (β=-.13, p=.027). The explanatory power of job embeddedness by these variables was 41.3%.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of less experienced nurs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 job embeddedness. Therefore, Enhancing job embeddedness requires efforts to expand institutional support within healthcare facilities by considering realistic improvement strategies for nursing work environments tailored to the scale of medical institutions. While working in departments that align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 supportive environment is necessary to enha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dditionally, to enhance expertise and the overall quality of nursing services, support programs focusing on improving interpersonal competency during job training are essential. This would aid less experienced nurses in adapting to their roles, gaining clinical experience, and internal maturity, ultimately establishing themselves as skilled nurses. This is not only beneficial for the development of hospital organizations but also crucial for patient safety.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6
B.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영향요인 8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7
E. 윤리적 고려 18
F. 자료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20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B.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 정도 22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배태성 차이 24
D.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 관계 26
E. 대상자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28


V. 논의 30
A. 저연차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 정도 30
B. 저연차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33
C.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36


VI.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0


부록 49


ABSTRACT 6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