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Efficacy of group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 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타당하게 구성되는가?' 와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는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김창대 외(2011)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특성에 적합하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개발 모형은 기획(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확인, 요구분석, 이론적 기초 확립), 구성(프로그램 이론적 요인과 구안방향, MCS 번안 및 K-MCS 구성, 프로그램 구성요소, 예비연구 프로그램 구성, 윤리적 고려, 예비연구 실시 및 평가, 전문가 점검 및 반영,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최종 구성), 실시(프로그램 실행), 평가(프로그램 평가)로 구성되는 4개의 영역 13단계의 절차로 설정하였고, 프로그램 개발은 이에 따라 체계적이고 재귀적인 개발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세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 홍보하여 자발적인 참여 신청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 12명(남 7, 여5) 통제집단 14명(남 7, 여 7) 총 26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한 프로그램 실행은 2023년 7월 ~ 2023년 8월 기간 동안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여름방학 중에 실시되었으며, 회기 당 150분씩 3회기가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스트레스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사전 사후 3주 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를 통해 수집된 양적 자료분석은 SPSS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과 GEE를 활용하였다. 먼저 사전 사후 추후 검사시점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대비 검정을 통하여 어느 시점에서 효과를 보이는지, 추후 시점까지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집단 내 검정을 통하여 집단별 사전 사후 추후 시점 간 개체 내 변화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에서 작성한 K-MCS 결과물과 프로그램 평가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의 타당도를 높게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진로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사후 시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이는 추후시점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진로스트레스는 사후-추후 시점에서도 프로그램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개체 내 검증에서도 모든 변인에 대하여 실험집단은 사전 사후의 변화가 유의하고 추후까지 유지되었으며, 통제집단은 검사시점에 따른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프로그램이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과 진로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미래 직업세계에 대응할 수 있는 진로 대처 역량을 함양시키고 진로 관련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로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My Career Story(MCS), 진로적응성,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스트레스

more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10
3. 용어의 정의 11
II. 이론적 배경 14
1.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14
가.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14
나.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필요성 15
다.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프로그램 현황 17
라. 고등학생에게 필요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방향 19
2. 진로구성주의 21
가. 진로상담 이론의 발달 21
나. 진로구성주의 이론 33
다. 진로구성상담 40
라. 와 한국형 My Career Story(MCS) My Career Story(K-MCS) 53
3. 진로구성상담 실행연구 · 62
4. 진로관련변인 66
가. 진로적응성 66
나. 진로정체감 73
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78
라. 진로스트레스 82
마. 진로관련변인 간 관계 86
III. 프로그램 개발 91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91
가. 프로그램 개발 모형 91
나.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 95
2. 프로그램 기획 96
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확인 96
나. 요구분석 · 98
다.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확립 100
3. 프로그램 구성 102
가. 프로그램 이론적 요인과 구안 방향 102
나. 번안 및 구성MCS K-MCS 104
다. 프로그램 구성 요소 105
라. 예비연구 프로그램 구성 106
마. 윤리적 고려 108
바. 예비연구 실시 및 평가 109
사. 전문가 점검 및 반영 113
아.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최종 구성 115
4. 프로그램 실시 118
5. 프로그램 평가 119
IV. 연구 방법 120
1. 연구대상 120
2. 실험설계 121
3. 연구도구 121
가. 처치도구 122
나. 평가도구 123
4. 자료분석 127
가.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127
나. 참여자 평가 분석 128
V. 연구 결과 129
1.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검증 129
가. 사전 측정값의 동질성 129
나. 프로그램 효과 검증 130
다. 질적 자료 검증 138
2. 참여자 평가 결과 149
가. 양적 평가 결과 149
나. 질적 평가 결과 151
VI. 논의 및 결론 155
1. 논의 155
가.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논의 155
나. 진로구성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논의 157
2. 결론 165
가. 요약 및 결론 165
나.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67
다. 제한점 및 제언 168
참고문헌 171
Abstract 197
부록 2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