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판 단축형 노화 인식 척도 타당화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Barker 등(2007)이 개발한 7개의 차원으로 이루어진 32문항 노화 인식 척도 (Aging Perceptions Questionnaire; APQ)를 한국판 단축형 척도로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의 노인 41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문항 단축을 위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APQ 32문항의 모형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해 문항 간 개념적 및 경험적 중첩을 고려하여 제거할 문항을 식별하였다. 문항의 제거와 함께 하위 차원의 조합에 따른 모형 적합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념적으로 관련성이 덜하거나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차원을 제거하였다. 연구 결과, 초기 단계에서 총 11개 문항이 제거되었고 하위 차원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문항 내용 간 응집을 위해 추가로 한 문항이 더 제거되었다. 하위 차원의 조합과 경험적 근거가 약한 차원을 제거한 결과, 만성적 노화 경험, 정서 표현, 긍정적 통제감, 긍정적 결과, 부정적 통제감 및 결과를 최종 하위차원으로 확정하였다. 5개의 하위차원으로 이루어진 17문항의 최종 모형(K-B-APQ)의 모형 적합도는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적 합치도는 모두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노화에 대한 태도 (ATOA) 척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K-B-APQ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K-B-APQ가 노화에 대한 인식의 다차원적인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신뢰로운 척도임을 시사한다.

more

목차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1. 고령화와 노년기 변화 4
2. 노화에 대한 관점, 노화 자기-인식 5
3. 노화 자기-인식과 관련한 선행 연구 6
1) 노화 자기-인식과 신체적 변인 6
2) 노화 자기-인식과 심리사회적 변인 8
3) 노화 자기-인식과 인구통계학적 변인 10
4. 노화 자기-인식의 측정 11
1) 기존 측정도구의 한계점 11
2) Aging Perceptions Questionnaire 14
3) APQ 단축형 18
III. 연구 목적 20
1. 연구 문제 및 가설 21
IV.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22
2. 절차 24
3. 측정 도구 24
4. 분석방법 27
V. 결과 29
1. 원척도 검증 29
2. 제거 문항 식별 35
3. 차원의 조합 검증 35
4. 제거 차원 식별 36
5. 신뢰도 및 타당도 41
VI. 논의 46
■ 참고문헌 51
■ 부록 75
■ ABSTRACT 7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