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피로, 사회적지지와 소진

The fatigue,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atient with COVID-19

초록/요약

본 연구는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피로, 사회적지지와 소진의 수준을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경기도 소재의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중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고 있는 간호사 1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피로는 Schwartz 등(1993)이 개발한 Fatigue Assessment Inventory (FAI)를 토대로 장세진(2000)이 재구성한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도구로 측정하였고, 사회적지지는 Zimet, Dahlemm Zimet과 Farley(1988)가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 Social Support (MSPS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소진은 Maslach와 Jackson(1981)에 의해 개발된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의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피로는 95점 만점에 평균 63.31±11.48점, 사회적지지는 60점 만점에 평균 48.34±6.97점, 소진은 132점 만점에 평균 81.90±15.50점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소진은 결혼상태(t=-2.00, p=.04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미혼이 기혼에 비해 소진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소진은 피로(r=.60,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지지(r=-.44, 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로(β=.49, p<.001), 시회적지지(β=-.21, p=.012)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을 설명하는 설명력은 38%(F=23.99, p<.001)이었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소진은 높은 수준이었고, 소진 수준은 피로가 심할수록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간호사의 피로를 낮추고 사회적지지를 강화하는 것은 소진을 감소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서차원에서 피로회복의 기회를 늘리고, 감염환자 간호를 위한 적정 간호시간과 인력산정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멘토링 제도와 소통문화 형성 등을 적극 활용하여 동료들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조직차원의 교육과 노력은 사회적지지 증가로 소진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is the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level of fatigue,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burnout. Data was collected from 115 nurses who were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Gyeonggi-do and Seoul from December 2021 to February 2022. Fatigue was measured by using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revised by Jang(2000) based on the Fatigue Assessment Inventory (FAI) developed by Schwartz et al. (1993).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 Social Support (MSPSS) tool developed by Zimet, Dahlem Zimet, and Farley (1988) and revised by Shin and Lee(1999). Burnout was measured b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2.0 program.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1. The mean scores of the fatigue and social support, and burnout was 63.31±11.48 out of 95 points, 48.34±6.97 out of 60 point, and 81.90±15.50 out of 132 points, respectively 2. Burnou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t=-2.00, p=.048), with single people higher burnout than married people. 3. The burnout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igue (r=.60, p=.001)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44, p<.001). 4. The fatigue (β=.49, p<.001), and social support (β=-.21, p=.012)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urnout. The explanatory power of burnout was 38% (F=23.99, p<.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burnout of nurses caring for patient with COVID-19 was high. The lower the fatigue,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burnout. Reducing the fatigue of the nurses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can be a strategy to reduce their burnout. In order to do this, the increase of the opportunity for fatigue recovery at the department level and the empirical research to calculate the appropriate nursing time and manpower for caring patients with infection are required. Organizational level education and efforts that actively utilize mentoring systems and communication culture formation to promote positive interactions with colleagues can prevent burnout by increasing social support.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소진 8
B. 코로나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11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자 15
C. 연구 도구 17
D. 자료수집방법 19
E. 윤리적 고려 20
F. 자료 분석 방법 21



Ⅳ. 연구결과 22
A.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2
B. 연구대상자의 피로, 사회적지지와 소진 수준 24
C.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 26
D. 연구대상자의 피로, 사회적지지, 소진 간의 관계 28
E. 연구대상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Ⅴ. 논의 31

Ⅵ.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39
부록 52
ABSTRACT 5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