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Happiness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to identify th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happiness of clinical nurse’s and to understand their effect on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128 clinical nurses working in two laboratories located in Gyeonggi-do from April 28, 2022 to May 27, 2022. The emotional labor was measur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Nam and Lee(2018). The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ENSS tool developed by French et al.(2000) and translated by Kim et al.(2015). The happiness was measured using the OHQ tool developed by Hills and Argyle(2002) and translated by Choi and Lee(200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3.62(out of 5), job stress was 2.71(out of 4) and happiness was 3.09(out of 5). 2. The happi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t=4.15, p<.001), education level(t=-1.99, p=.049), total clinical experience(F=3.53, p=.032) and satisfaction with current workplace(F=15.12, p<.001). 3.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their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happiness and found that their happin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job stress(r=-.31, p<.001). 4. Significant influenza factors on the happiness of clinical nurses were satisfaction with current workplace(β=.50, p<.001), gender(β=-.26, p=.002) and job stress(β=-.17, p=.035). In conclusion, the more satisfied nurses are with their current workplace and the lower their job stress, the higher their happines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nd an intervention plan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workplace and to reduce the level of job stress.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정도를 확인하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임상간호사의 행복감을 높이는 중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22년 04월 28일부터 2022년 05월 27일까지 경기도 소재의 2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감정노동은 남혜리와 이지윤(2018)이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감정노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스트레스는 French 등(2000)이 개발한 Expanded Nursing Stress Scale (ENSS)를 김경미 등(2015)이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사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행복감은 Hills와 Argyle(2002)이 개발한 옥스포드 행복척도(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 OHQ)를 최요원과 이수정(2004)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62점이였으며, 하위영역 으로는 조절행위가 3.66점으로 가장 높았고, 표면화 3.59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평점 4점 만점에 2.71점이였으며, 하위영역으로는 과중한 업무가 3.19점으로 가장 높았고, 차별이 1.79점으로 가장 낮았다. 행복감은 평균 평점 5점 만점에 3.09점이였으며, 하위영역으로는 자가조절 요인이 3.16점으로 가장 높았고, 외적 요인 3.03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은 성별(t=4.15, p<.001), 교육수준 (t=-1.99, p=.049), 총 임상경력(F=3.53, p=.032), 현 근무지 만족도(F=15.12,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남성(3.68±0.43)이 여성(3.03±0.47)보다 행복감이 높았으며, 총 임상경력이 5년 이상~10년미만(2.99±0.59)보다는 10년이상(3.28±0.47)인 경우 행복감이 더 높았다. 3. 임상간호사의 행복감은 직무스트레스(r=-.31, p<.001)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의사와 갈등(r=-.33, p<.001), 불충분한 정서적 준비(r=-.19, p=.039), 동료와 문제(r=-.25, p=.005), 상사와 문제(r=-.31, p<.001), 과중한 업무(r=-.31, p=.001), 치료의 불확실성(r=-.28, p=.002), 환자와 가족(r=-.29,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은 감정노동(r=-.07, p=.426)과 상관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화 (r=.21, p=.020)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임상간호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 근무지 만족도가 만족, 성별, 현 근무지 만족도가 보통, 직무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 근무지 만족도가 불만족보다는 만족이(β=.50, p<.001), 여성보다는 남성이(β=-.26, p=.002), 불만족보다는 보통이(β=.24, p=.033),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β=-.17, p=.035) 행복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임상간호사의 현 근무지에 대해 만족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근무지 만족도를 높이고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조직 차원의 지원과 함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한 중재방안 마련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임상간호사의 행복감 7
B.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 9
C.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 11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자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방법 16
E. 자료분석방법 17
F. 윤리적 고려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정도 21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 23
D. 대상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상관관계 25
E. 대상자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7
Ⅴ. 논의 29
Ⅵ. 결론 및 제언 34
A. 결론 34
B. 제언 35
참고문헌 36
부록 45
ABSTRACT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