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과학기술 번역의 독자 설계 연구 : IT 서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udience Design in Scientific and Technical Translation : Focusing on Translated Books 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T)

초록/요약

This research presents an analysis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ranslation (STT) focusing on the concept of “audience design” (Bell 1984). It investigates methods and strategies us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which lead to shifts in the linguistic styl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the translated text, and approaches to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ncepts, depending on the targeted audiences. Using the skopos theory framework, this thesis compares four widely known books on IT that deal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written in English, and their respective Korean translation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in body and paratext of these books, the study argues that translation strategies used in each translation are tailored to specific readership, as well as designed to make the text function adequately in the target culture. The strategies, ranging from addition, omission, and explicitation of information and the rearranging of contents in the main body of the book, to the making of new cover designs and the creative use of translator’s notes have the effect of making the translated text fit the expectations of the target readership. This paper also argues that the publisher plays a crucial role in positioning the readership of the translated text as a particular ‘audience group’ in scientific and technical translation. Depending on the publisher type, e.g., publisher for general readership vs. publisher for specialized readership, different methods of interlingual and intertextual transfer are used to ultimately and strategically present a translated book which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new type of read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rethink the widely held belief that translators and publishers place highest value on conceptual accuracy and original textual meaning in the cas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ranslation. As is the case with other types of texts, scientific and technical texts also undergo audience-oriented transfer processes when they are translated into another language. Depending on the target profile of the readership established by translators and publishers, published translations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xts may offer more detailed, or les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urce text content and may even frame the source text in different ways. Moreover, paratexts in scientific and technical translation functions as directives or frameworks for the readers concerning how the translated text should be read and interpret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독자 설계’(Bell 1984) 개념을 토대로 과학기술 번역을 고찰한다. 번역 과정에서 대상 독자가 번역 텍스트의 언어 표현과 스타일, 텍스트의 구조와 제시 방식, 전반적인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기 위해 스코포스 이론을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주제로 하는 유명 IT서적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본을 비교한다. 과학기술 번역에 관한 기존 논의가 원서의 개념과 내용을 최대한 정확하게 전달하야 한다는 규범적 관점과 개념적 등가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예상 독자 설정의 문제를 통해 과학기술 번역을 고찰하는 본 연구는, 과학기술 번역에 관한 이해를 넓힐 뿐만 번역에서 '독자’ 문제를 더욱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IT 서적 4종을 중심으로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본의 본문과 곁텍스트를 비교분석한다. 본문에서는 첨가, 생략, 정보의 명시화 그리고 내용 재구성과 같은 번역 방법을 통해 특정 독자층을 위한 맞춤형 텍스트를 만들어낼 뿐만 아니라 번역 텍스트가 목표 문화권에서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한다. 곁텍스트 사용에 있어서는 새로운 표지 디자인 사용 및 적극적인 역주 활용이 두드러지며 서적 전반에서 대상 독자층의 기대에 부합하는 다양한 번역 전략을 활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기술 번역의 경우 번역가와 출판사는 개념적 정확성과 원서의 텍스트적 의미를 충실하게 반영해야 한다는 일반적인 인식이 고정관념에 불과하며 번역 연구자들은 독자 중심의 관점에서 과학기술 번역 문제를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텍스트 유형과 마찬가지로, 과학기술 텍스트 또한 다른 언어로 번역될 때 독자를 우선으로 고려하는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번역가와 출판사에 의해 설정된 독자층의 프로필에 따라, 출판된 과학기술 번역서는 원서의 내용을 더 자세히 혹은 조금 덜 자세히 다루고 원서를 다른 방식으로 프레이밍하기도 한다. 더불어, 과학기술 번역에서 곁텍스트는 독자들에게 번역서가 어떻게 읽히고 해석되어야 하는지, 즉 텍스트의 수용을 의도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특정 방향성과 틀을 제공한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논문의 구성 11
2. 이론적 배경 13
2.1. 과학기술 번역 13
2.2. 스코포스 20
2.3. 독자 설계 22
2.4. 곁텍스트 28
2.5. 연구 분석틀 30
3. 본문에서의 독자 설계 31
3.1. IT 전문 용어 처리 32
3.2. 첨가 37
3.3. 생략 42
3.5. 논의 및 결론 56
4. 곁텍스트를 활용한 독자 설계 59
4.1. 표지 59
4.2. 역자 서문 78
4.3. 목차 84
4.4. 역주 93
4.5. 논의 및 결론 100
5. 결론 104
5.1. 논의의 요약 104
5.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06
참 고 문 헌 109
ABSTRACT 11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