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후위기 대응행동의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논의 : 가치-신념-규범(VBN) 이론과 계획된 행동 이론(TPB)의 이론적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eterminants of Response Behavior against Climate Crisis and Policy Implication: Focusing on Integration Model of Value-Belief-Norm (VBN)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위기 대응행동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엔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나 인식 자체는 확대되고 있으나, 이와 별개로 실제 대중의 참여는 매우 부족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 있다. 기후대응 정책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 대중의 인식과 실천이 우선적 중요성을 가지는 만큼 기후위기 대응행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의 경우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고려가 편중되어 있으며, 연구별로 대응행동에 대한 개념 구성이 상이하여 혼동가능성이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rn(2000)이 제안한 가치-신념-규범(VBN) 이론을 적용하여 대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치-신념-규범 이론은 환경 행동을 설명하는 유용한 도구임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왔으나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온 만큼 해당 이론이 한국사회의 환경 행동을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인지 검증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더불어 현상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이론적 통합 모형이 고려되고 있는 연구 경향을 고려하여 Ajzen(1991)이 제안한 계획된 행동 이론을 추가한 이론적 통합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후위기와 대응행동, 가치-신념-규범 이론과 계획된 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논의한 이론적 쟁점과 기존 연구의 한계를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확정하였다. 연구모형은 가치 요인(이기적 가치, 이타적 가치, 생태적 가치, 쾌락적 가치) → 신념 요인(신 생태주의 패러다임, 결과 인식, 책임 귀속) → 규범 요인(개인적 규범)으로 이어지는 기존 가치-규범-신념 이론의 선형적 인과관계를 기준으로 구성하였다. 이에 추가적으로 계획된 행동 이론의 요인들이 신념에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의 가정을 고려하여 규범 요인과 동일한 차원에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변수를 추가하였다. 설문조사자료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 첫째, 가치-신념-규범 이론과 계획된 행동 이론은 각각 기후위기 대응행동을 설명하는 데에 유용한 설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두 이론 모두 행동 예측에 대한 유용성을 가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가치-신념-규범 이론과 계획된 행동 이론의 통합 모형은 각 이론에 대한 개별적 검증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현상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치-신념-규범 이론은 가치와 도덕적 규범에 초점을 두고 있어 이성과 관계한 인식이나 추론에 대한 고려가 소홀하다는 한계가 지적되어왔는데, 인식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계획된 행동 이론과 통합하는 시도는 가치-신념-규범 이론에 부족한 합리성을 보완해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최근 선행연구들의 흐름과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수정 모형에 대한 검증 결과, 신 생태주의 패러다임와 이타적 가치를 제외한 대안 모형이 통합 모형보다 더 우수한 모형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재고려와 더불어 가치 요인에 대한 새로운 구성 등 추가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climate crisis response behavior. The background to such research is that, despite growing concern and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the climate crisis, the level of actual public participation remains extremely inadequate. Since public awareness and practice are of paramount importance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limate policies, research on climate crisis response action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biased consideration of variables that affect response behavior, and there is a limit to the possibility of confusion because different studies have different conceptual structures for response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response behavior by applying the Value-Belief-Norm(VBN) Theory proposed by Stern (2000). Value-Belief-Norm Theory has been verified through various studies as a useful tool for explaining environmental behavior, but as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there is a need to verify whether the theory is effective in explaining environmental behavior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we propose and validate a theoretical integrated model that add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proposed by Ajzen (1991)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trend in which various theoretical integrated models are considered to enhance explanatory power for the phenomen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plored, focusing on the climate crisis, response behavior, Value-Belief-Norm (VBN)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Through this, the research model was confirmed by considering the theoretical issue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linear causal relationship of the existing value-norm-belief theory leading to Value factors(egoisticvalue, altruistic value, biospheric value, hedonic value) Belief factors(New → Ecological Paradigm, adverse consequences for valued objects, perceived ability to reduce threat) Norm factors(personal norms). In add → ition, attitude,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variables were added to the same dimension as the Norm factors, considering the assump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factors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re influenced by beliefs. Analysis based on survey data shows tha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belief-norm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ovide useful explanatory power to explain climate crisis response behavior, respectively. Accordingly, it was possible to reconfirm that both theories have usefulness for behavioral prediction. Second, the integrated model of Value-Belief-Norm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s been verified to have relatively superior phenomenon explanatory power compared to individual verification for each theory. Value-belief-norm theory has been pointed out as a limitation of neglecting reason-related perceptions or reasoning because it focuses on values and moral norms, suggesting that attempts to integrate with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focus on cognitive factors can compensate for the lack of rationality in value-belief-norm theor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vised model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flow and results of recent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alternative model excluding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nd altruistic value was better than the integrated model. Ther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efforts such as reconsideration and new composition of value factors are raised.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제2장 논의의 배경 및 이론적 도출검토 7
제1절 논의의 배경 7
1. 기후변화의 정의 7
2. 기후변화의 원인과 현황 9
3. 기후변화에서 기후위기로 12
제2절 이론적 검토 14
1. 기후변화 대응행동 14
2. 가치-신념-규범 이론 24
3. 계획된 행동 이론과 통합 모형 모색 40
제3장 연구설계 46
제1절 구조방정식 모델링 46
제2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47
제3절 자료수집 52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52
2. 측정 문항 54
제4장 분석절차 및 측정도구 검증 59
제1절 분석절차 59
제2절 타당도 검증 60
1. 탐색적 요인분석 60
2. 확인적 요인분석 62
제3절 신뢰도 검증 68
제4절 다중공선성 검토 69
제5장 분석 결과 70
제1절 기초 분석 70
1. 기술통계 결과 70
2. 집단별 평균차이 검증 72
제2절 기존 이론적 모형에 대한 사전검증 80
1. 가치-신념-규범 이론 모형 80
2. 계획된 행동 이론 모형 83
제3절 통합 모형 분석 결과 85
1. 모형 적합도 85
2. 세부 경로 분석 결과 86
3. 매개효과 분석 결과 94
4. 수정 모형 검증 96
제6장 결론 101
제1절 연구 요약 101
제2절 논의 104
제3절 연구의 한계 107
참고문헌 108
<부록> 설문지 122
Abstract 12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