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폭력경험 지역사회 정신건강실무자의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community mental health workers experienced violence

초록/요약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stress coping theory of Lazarus and Folkman(1984) on perceived stress, resilience, stress response and burnout were investigated by apply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workers of community mental health institutions who experienced viol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practitioners who experienced violence while working at a community mental health institution in Gyeonggi-do,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met the selection criteria. The study period was from November 10, 2021 to March 12, 2022, and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8 weeks, and a weekly schedule for breathing meditation was provided. The effect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ere measured by utilizing the Perceived stress Scale , Resilience Scale, Stress Response Scale, Burnout Scale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 follow-up survey was conducted after 8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homogeneity test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with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normality test of the study variables was performed with the Kolmogorov-Smirnov test. and the prior homogeneity test of the dependent variabl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effect test of the program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by Cohen's d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ill have a lower perceived stress score than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as supported(t=-4.21, p=<.001).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ill have a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as supported(t=3.97, p=<.001).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ill have a lower stress response score than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as supported(t=-5.85, p=<.001).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will have a lower burnout score than the non-participating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urnout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as supported(t=-4.16, p=<.001).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program to change the psychological stress and burnout of community mental health workers who experienced violence.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 대처이론을 적용하여 폭력을 경험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실무자를 위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폭력경험 질적 및 양적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전문가 타당도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폭력을 경험한 경기도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련 기관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 유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 총 5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21년 11월 10일부터 2022년 3월 12일까지였으며, 실험군에게는 주 1회 90분으로 총 8회기를 제공하고 대조군은 중재 처치 없이 진행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극복력, 스트레스반응, 소진 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중재 종료 후)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4.21, p<.001). 가설 2.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극복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극복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3.97, p<.001). 가설 3.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반응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스트레스 반응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5.85, p<.001). 가설 4.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소진 점수가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 간에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되었다(t=-4.16, p<.001). 본 연구에서는 Lazarus와 Folkman (1984)의 스트레스대처이론을 적용한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이 폭력을 경험한 지역사회 정신건강실무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d=1.19), 극복력 향상(d=1.12), 스트레스 반응 감소(d=1.65), 그리고 소진 감소(d=1.18)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의 가설 5
D.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지역사회 정신건강기관 실무자의 폭력경험 8
B. 폭력경험 실무자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고찰 12
Ⅲ. 연구의 이론적 기틀 17
Ⅳ. 연구방법 20
A.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 20
B.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효과 검증 32
Ⅴ. 연구결과 43
A.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 43
B.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51
C. 가설검증 56
D.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만족도 평가 66
Ⅵ. 논의 67
A.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 개발 67
B.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의 효과 71
C. 연구의 의의 81
Ⅶ. 결론 및 제언 83
A. 결론 83
B. 제언 85
참고문헌 86
부록 102
ABSTRACT 1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