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비대면 집단 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초록/요약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UP)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선별검사를 통해 우울 혹은 불안이 절단점 점수 이상이며,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상위 25%에 해당하는 39명의 참가자들을 모집하였다. 이들은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집단 14명, 인지행동치료 비교집단 12명, 대기통제집단 13명으로 각각 무선할당 되었으며, 치료집단과 비교집단의 참가자들은 5주 동안 주 1회, 75분 비대면 집단상담에 참가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추후검사는 프로그램 종결 2주 후의 시점에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는 주요 측정치인 우울, 불안, 코로나19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비교집단 및 대기통제집단과 비교하여서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특히,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는 우울과 코로나19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에 있어서 비교집단 및 대기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정서조절곤란은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치료집단의 삶의 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경우 통제집단보다는 높고 비교집단보다는 높거나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종합하면, 이러한 결과는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가 전반적으로 치료적 효과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우울과 코로나19 스트레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에 있어서는 인지행동치료보다 더 큰 개선을 보였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During theCOVID-19 pandemic, a number of people have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or anxiety, requring mental health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is situational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protocol(UP) for undergraduates with depression or anxiety symptoms due to COVID-19. Thirty-nine participants with COVID-19 stress (above 25%), and either depression or anxiety symptoms due to COVID-19 were screen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14 to the brief unified transdiagnostic protocol treatment, 12 to the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omparison group, and 13 to wait-list control group. Each treatment program consisted of five, non-face-to face group sessions. As a result, participants of the brief UP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xiety, and COVID-19 stress-especially difficulties of social distancing. However, the effect of the brief UP on emotional difficulty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of brief UP group were hi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higher than or similar to that of the comparison group.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ief UP had overall therapeutic effectiveness and indicate greater improvement tha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especially in depression, COVID-19 stress, and social distanc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1. 코로나19 6
1.) 코로나19와 정신건강 6
2.) 코로나19와 정신건강 서비스 9
2.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 11
1.)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의 개념 11
2.)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의 효과성 13
3. 코로나19와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 14
1.) 코로나19와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 모듈 16
Ⅲ. 연구 목적 및 가설 19
1. 연구 목적 19
2. 연구 문제 및 가설 19
Ⅳ. 연구 방법 21
1. 연구 대상 21
2. 연구 절차 22
3. 측정 도구 22
1.) 한국판 역학 연구 우울척도 22
2.) 상태 불안척도 23
3.)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스트레스 척도 23
4.) 정서조절곤란척도 24
5.) 삶의 만족도 척도 24
6.) 대학생활적응 척도 24
4. 프로그램 개요 25
1.)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 회기 구성 25
2.) 비교집단의 프로그램 회기 구성 27
5. 분석 방법 28
Ⅴ. 결과 29
1. 집단 및 변인 간 사전동질성 검증 29
2. 단기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 효과성 검증 30
1.) 우울 30
2.) 불안 33
3.) 코로나19 스트레스 35
3-1) 코로나19 스트레스 하위요인 38
4.) 정서조절곤란 40
5.) 삶의 만족도 42
6.) 대학생활적응 44
3. 프로그램 만족도 47
Ⅵ. 논의 51
Ⅶ. 참고문헌 58
Ⅷ. 부록 69
Ⅷ. ABSTRACT 8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