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경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지지와 외상후스트레스 장애의 관계를 보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경기도 소재 의료기관인증을 받은 1개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3개월 이상인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1일부터 2021년 9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현주와 최희정(2011)의 외상사건경험 도구, Connor와 Davidson (2003)이 개발한 Connor-Davidson ResilienceScale(CD-RISC)을 백현숙(2010)이 번안한 한국형 코너데이비슨 자아탄력성척도 도구,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지지 도구를 김경희(2008)가 수정 보완한 사회적지지 도구, Horowitz(1979)가 개발한 사건 충격 척도 (Impact of-Event Scale, IES)를 기초로 Weiss 와 Marmar(1997)가 수정·보완한 ‘Impact of Events Scale-Revised(IES-R)'를 은헌정 등(2005)이 표준화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외상사건경험은 65점 만점에 평균 31.77(±9.99)점, 자아탄력성은 100점 만점에 평균 65.08(±13.49)점, 사회적지지는 115점 만점에 평균 79.55(±14.35)점,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88점 만점에 평균 17.22(±16.81) 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나이(t=-2.33, p=.023), 결혼(t=2.25, p=.026), 직위(t=-2.58, p=.012), 응급실 경력(t=-2.19, p=.032), 임상실무경력(t=-3.6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14.76±15.35)보다 30대이상(22.56±18.71), 미혼(15.83±16.25)보다 기혼(24.90±18.14), 일반간호사(14.27±14.77)보다 책임간호사(22.61±19.02)가, 응급실 경력 5년 미만(14.74±15.27)보다 5년이상(23.22±20.04), 임상실무경력 5년 미만(12.836±12.37)보다 5년 이상(23.22±20.04)인 경우에 외상후스트레스장애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외상사건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r=.44, p<.001)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8, p=.038)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상사건경험(β=.41 p<.001)과 자아탄력성(β=-.24, p=.030)으로 설명력은 30%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trauma event experience of emergency room nurs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Methods: Participants were 130 ED nurses who had worked for three month or longer in the ED one of university hospitals in Gyeong GI Do Province in Kore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PTSD, Trauma event, ego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raumatic event experience,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traumatic event experience and ego-resilienc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xplaining 30%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clusion: Traumatic event experience and ego-resilience ar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mergency room nurses.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간호사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7
B. 간호사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영향요인 9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자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방법 17
E. 윤리적 고려 17
F. 자료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외상사건경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외상후스트레스 정도 21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스트레스 차이 24
D. 대상자의 외상사건경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관계 26
E. 대상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영향요인 27
Ⅴ. 논의 29
Ⅵ. 결론 및 제언 35
A. 결론 35
B. 제언 36
참고문헌 37
부록 45
ABSTRACT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