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프로티언 경력지향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n individual’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work engagement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the two variables. Specifically, based on the Job Demands-Resources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ill be identified, and it will be verifie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capital appears. For this study, analysis was conducted on 174 workers engaged in various occup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was also positively significant. In addition,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link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orientation and work engagement,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was also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개인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직무요구-자원 이론에 기반하여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적 자본을 통한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174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티언 경력지향과 심리적 자본의 관계 및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의 관계 역시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자본은 프로티언 경력지향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1
제2절 연구 목적 2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가설 6
제1절 프로티언 경력지향 6
1. 경력 개념의 변화 6
2. 프로티언 경력지향의 개념 7
제2절 직무열의 10
1. 직무열의의 개념 10
2. 프로티언 경력지향과 직무열의의 관계 13
제3절 심리적 자본 16
1. 심리적 자본의 개념 16
2. 프로티언 경력지향과 심리적 자본의 관계 20
3. 심리적 자본과 직무열의의 관계 21
4. 프로티언 경력지향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 23
제3장 연구 방법 25
제1절 연구 대상 25
제2절 측정 도구 25
1. 프로티언 경력지향 25
2. 심리적 자본 26
3. 직무열의 26
제3절 분석 방법 27
제4장 결과 28
제1절 타당도 검증 28
제2절 신뢰도 및 상관분석 30
제3절 단순매개모형 분석 32
제4절 추가 분석 33
제5장 논의 3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36
제2절 연구의 시사점 37
제3절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 39
참고문헌 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