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우울,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과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의 관계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D종합병원의 외래 추적관찰중인 3개 이상 만성질환을 가진 만 65세 이상의 노인 116명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2022년 04월 01일까지었다. 우울은 Sheikh와 Yesavage (1986)가 개발하여 정인과 등(1997)이 표준화한 한국형 노인우울검사(KGDS)를 사용하였고, 사회적지지는 Zimet, Dahlem Zimet, & Farley (1988)가 개발하고 신준섭, 이영분(1999)이 번안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를 사용하였으며, 약물복용이행은 Morisky 등(2008)에 의해 개발된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MMAS-8)을 민신홍 등(2012)이 표준화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통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6.18±6.74점(30점 만점)으로 ‘정상(1-13점)’인 대상자가 44명(37.9%)으로 가장 많았다. 사회적지지는 평균 41.06±6.56점(60점 만점)으로, '가족 지지'는 평균14.66(±2.49)점으로 가장 높았고 ‘친구 지지’는 평균 12.53(±2.93)점, ‘특별한 타인 지지’는 평균 13.88(±2.87)점이었다. 약물복용이행은 8점 만점에 평균 4.69±1.85점이었고, ‘낮은 이행도’가 75명(64.7%)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이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약물복용이행은 배우자 유무(t=3.27, p=.002), 경제활동 종사(t=2.31, p=.025), 경제적 상태(F=3.94, p=.02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이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약물복용이행은 주관적 건강상태(F=3.35, p=.043), 만성질환 수(t=3.64, p<.001), 일상생활 도움필요 여부(t=2.89,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약물복용이행은 우울(r=-.5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사회적지지(r=.59,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우울(β=-.35, p=.007), 사회적지지 중 가족 지지(β=.29, p=.006)이며, 모형의 설명력은 43%로 나타났다(F=8.02, p<.001).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우울이 낮고,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인구 중에서도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은 민감하게 우울 여부와 정도를 관리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한 가족 지지를 높여 약물복용이행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research to explore the level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6 adults 65 years of age or older with 3 or more chronic diseas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2020 to April 1, 2022 in outpatient clinics at D Hospital in Daejeon. Depression was measured by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that was developed by Sheikh and Yesavage (1986) and standardized by Jeong In-gwa et al. (1997).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that was developed by Zimet, Dahlem Zimet, & Farley (1988) and translated by Jun-seop Shin and Young-bun Lee (1999). Medication adherence was measured by Morisky Medication Adherence Scale (MMAS-8) developed by Morisky et al. (2008) and standardized by Min Shin-Hong et al. (2012).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epression survey result showed averaged 16.18±6.74 points (On a scale of 1 to 30 points), and 44 subjects (37.9%) who were ‘normal (1-13 points)’ had the most. Social support survey result showed an average of 41.06±6.56 (On a scale of 1 to 60 points) 'family support' scored the highest with an average of 14.66 (±2.49) points, 'friend support' scored an average of 12.53 (±2.93) points, and 'special support' scored an average of 13.88 (±2.87) points. Medication adherence scored an average of 4.69 (±1.85) points (On a scale of 1 to 8 points), and ‘low adherence’ was the most with 75 patients (64.7%). 2.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edication adh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ubject. The medication adher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pouse (t=3.27, p=.002), the economic activity (t=2.31, p=.025), and the economic condition (F=3.94, p=.027). 3.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medication adherence according to the test subject'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 medication adher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F=3.35, p=.043), number of chronic diseases(t=3.64, p<.001), and the necessity of daily life assistance (t=2.89, p=.005). 4. Medication adher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52, p<.001),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59, p<.001). 5.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ubject's medication adherence were depression (β=-.35, p=.007) and family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β=.29, p=.006),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3 % (F=8.02, p<.001). In this study, for the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family support, show the higher medication adherence. For the older adults with multi-morbidity, a practical strategy to maintain a healthy life by sensitively managing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depression and enhancing family support through various channels to further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should be developed.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약물복용이행 8
B. 약물복용이행의 영향요인 10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8
E. 윤리적 고려 19
F. 자료분석방법 20
Ⅳ. 연구결과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23
C. 대상자의 우울, 사회적지지와 약물복용이행 정도 25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이행의 차이 27
E.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이행의 차이 29
F. 대상자의 우울, 사회적지지와 약물복용이행의 상관관계 31
G.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의 영향요인 32
Ⅴ. 논의 34
Ⅵ.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0
참고문헌 4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