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임상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으로 지정된 병원에 재직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1년 12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A대학병원과 G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7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은 변은경 등(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홍선우와 김신미(2013)이 개발하고 이경자(2020)에 의해 수정, 보완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는 Nolan과 Bruder (1997)가 개발한 도구를 김미혜(2016)가 번안 및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VOVA, Scheffḗ test,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은 평균 12.12±1.98점이었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는 평균 45.14±4.10점이었으며, 연명의료 역할인식 정도는 52.39±6.83점으로 나타났다. 2. 임상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명의료 역할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임상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태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와 연명의료 역할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연명의료 역할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4. 임상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성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이 모형의 설명력은 37.9%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봤을 때, 성별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가 연명의료 역할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가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역할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사전연명의료의향서 태도를 긍정적으로 고취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s to discove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role played by clinical nurses in institutions designated as advance registration institutions for life-sustaining medical care. The participants comprised 176 clinical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A Hospital and G General Hospital in Suwon-si, Gyeonggi-do. They were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December 1-31, 2021. Role perception about life-sustaining care for nurses was measured through tools developed by Byun Eun-kyung.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by tools developed by Hong Seon-woo and Kim Shin-mi (2013)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Lee Gyeong-ja (2020). Finally,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measured using tools developed by Nolan and Bruder (1997) and translate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mi-hae (2016). Using the SPSS 24.0 progra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ḗ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1. The clinical nurses’ average scores were 12.12±1.98 on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45.14±4.10 on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52.39±6.83 on role perception about life-sustaining care was. 2. The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role perception about life-sustaining care as p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nical nurses,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regarding recognition of advance directives.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Furthermor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role perception about lifesustaining care. The study did not fin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 and role perception about life-sustaining care among the nurses. 4. Upon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roles played by clinical nurses in life-sustaining car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37.9%. The study, while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roles of clinical nurses in life-sustaining care, confirm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regarding recognition of advance directives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Among thes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s’ role perception in life-sustaining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n educational program to positively influence nurses’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to increase their awareness of how their role in life-sustaining care is perceived.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연명의료 중단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 7
B.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 11
C.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 영향요인 13

Ⅲ. 연구방법 19
A. 연구설계 19
B. 연구대상 19
C. 연구도구 20
D. 자료수집방법 22
E. 자료분석방법 23
F. 윤리적 고려 24

Ⅳ. 연구결과 25
A. 연구대상자의 특성 25
B. 연구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태도와 연명의료 역할인식 29
C.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연명의료 역할인식 차이 34
D. 연구대상자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태도와 연명의료 역할인식 간 상관관계 38
E.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39

Ⅵ. 논의 40
A.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과 태도 40
B. 임상 간호사의 연명의료 역할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46

Ⅵ.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