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인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의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노인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의 영향요인을 Information- Motivation-Behavioral skill(IMB)모델에 기반한 심부전 지식, 사회적 지지, 우울, 약물복용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C대학병원 순환기내과 외래에 내원한 만 65세 이상 노인 심부전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부터 11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ANOVA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 정도는 평균 48점 14.30점(가능범위 12∼48점, 점수가 낮을수록 약물복용 이행점수가 높음)으로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 지식은 평균 7.09점(최대 10점)이었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104.05점(최대 120점), 하부영역 별 평균(최대 60점)은 가족지지는 52.87점, 의료인지지는 51.12점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 정도는 평균 10.93점(최대 80점)이었고, 약물복용 자기효능감은 33.29점(최대 3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 정도와 주요 관련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부전 지식(r=-.53, p<.001), 가족지지(r=-.52, p<.001), 의료인지지(r=-.58, p<.001), 약물복용 자기효능감(r=-.69, p<.001), 우울(r=.7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 이행 정도는 연령 (t=-4.41, p<.001), 배우자(t=4.91, p<.001), 동거가족(F=14.42, p<.001), 교육수준 (t=3.39, p<.001), 경제상태(F=13.2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 이행 정도는 체질량지수(r=-.17, p=.041), 상대악력(r=-.22, p=.005), 종아리둘레(r=-.20, p=.012)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단변량 분석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들을 통제한 최종 위계적 회귀모델은 총 67.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R2=.678, Adjusted R2=.648, F=22.36 p<.001). 특히 약물복용 이행 정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은 약물복용 자기효능감(β=-.37, p<.001), 우울(β=-.37, p<.001), 심부전 지식(β=-.16, p=.021)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을 위해 IMB 모델을 기반으로 우울을 감소하고 약물복용 자기효능감과 심부전 지식을 증진하는 중재 전략을 활용한 약물복용 이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또한 노인 심부전 대상자의 지식과 약물복용 이행정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심부전 특이형 지식 및 약물복용 이행 측정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medication adherence of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focusing on their heart failure knowledge,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 (IMB) model. For the study, 153 cardiac outpatients with heart failure aged 65 and older were select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2021 to November 2021.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medication adherence was 14.30 out of 48 (lower score means better medication adherence in the range of 12 to 48), implying that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good adherence. The mean scores of the heart failure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were 7.09 out of 10 and 104.05 out of 120, respectively. In the sub-domain of the social support, the mean scores of the family support and medical staff support were 52.87 out of 60 and 51.12 out of 60,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were 10.93 out of 80 and 33.29 out of 39, respectively. 2. The medication adherenc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heart failure knowledge (r=-.53, p<.001), family support (r=-.52, p<.001), medical support (r=-.58, p<.001),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r=-.69, p<.001), and depression (r=.73, p<.001). 3. The medication adh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t=-4.41, p<.001), spouse (t=4.91, p<.001), living with family (F=14.42, p<.001), education level (t=3.39, p<.001), and economic condition (F=13.27, p<.001). The medication adherence according to the diseas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MI (r=-.17, p=.041), relative handgrip strength (r=-.22, p=.005), and calf circumference (r=-.20, p=.012). 4. In the fina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controlling for covari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was 67.8% (R2=.678, Adjusted R2=.648, F=22.36 p<.001).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β=-.37, p<.001), depression (β=-.37, p<.001), and heart failure knowledge (β=-.16, p=.021)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for medication adherence. Soci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a medication adherence improvement program using an intervention strategy that helps reduce depression as well as promote self-efficacy for appropriate medication use and heart failure knowledge based on IMB model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medication adherence of the older adults with heart failure. A heart failure-specific instrument that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needs to be developed to precisely measure the heart failure knowledge and medication adherence.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3
C. 용어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노인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 7
B. 노인 심부전 환자의 약물복용 이행 관련 요인 8
1. 심부전 지식 8
2. 사회적 지지 9
3. 우울 11
4. 약물복용 자기효능감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자 및 표집방법 14
C. 연구도구 15
1. 심부전 지식 15
2. 사회적 지지 16
3. 우울 16
4. 약물복용 자기효능감 17
5. 약물복용 이행 17
D. 자료수집방법 18
E. 자료분석방법 19
F. 윤리적 고려 19
Ⅳ. 연구결과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 및 제 변인 정도 27
C.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과 제 변인 간의 상관관계 29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약물복용 이행의 차이 31
E. 대상자의 약물복용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7
Ⅴ. 논의 40
Ⅵ.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