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 인간중심돌봄의 정도를 확인하고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3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1년 9월 1일부터 11월 13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감역량은 Lee와 Seomun (2016)이 개발한 간호사 공감역량 측정도구(Compassion Competence Scale: CC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간호근무환경은 Lake (2002)가 개발한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PES-NWI)를 조은희 등(2011)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K-PES-NW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인간중심돌봄은 Edvardsson 등(2010)이 개발한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P-CAT)을 탁영란 등(2015)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인간중심돌봄 사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 124명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120명(96.8%)으로 평균 나이는 42.10세이었으며, 기혼은 91명(73.4%)이었고, 총 임상경력은 평균 11.67년으로 ‘10년 이상’이 74명(59.7%), 현 요양병원 근무경력 평균은 2.33±3.70년으로 ‘1년 미만’이 47명(37.9%)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공감역량은 문항평균 5점 만점에 3.82±0.43점, 간호근무환경은 문항평균 4점 만점에 2.73±0.38점, 인간중심돌봄은 문항평균 5점 만점에 3.14±0.55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 인간중심돌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공감역량은 성별(t=3.01, p=.003), 학력(F=8.85, p<.001)에 따라, 간호근무환경은 성별(t=3.51 p=.001)에 따라, 인간중심돌봄은 성별(t=3.79, p<.001), 결혼상태(t=2.25, p=.026), 총 임상경력(F=5.21, p=.007)과 현 요양병원 근무경력(F=6.8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인간중심돌봄은 공감역량(r=.28, p=.002), 간호근무환경(r=.56,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근무환경(β=.47, p<.001), 공감역량(β=.20, p=.007), 총 임상경력(β=.19, p=.041)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7%(수정설명력 43%)로 나타났다(F=12.48,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공감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인간중심돌봄을 위한 간호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직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 7
B.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 영향요인 10
Ⅲ.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수집방법 17
E. 자료분석방법 17
F. 윤리적 고려 18
Ⅳ. 연구결과 19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B. 대상자의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21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 인간중심돌봄의 차이 23
D. 공감역량,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상관관계 29
E.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Ⅴ. 논의 32
Ⅵ. 결론 및 제언 38
참고문헌 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