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작은도서관 학습공동체 리더들의 경험학습 사례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에서 학습공동체를 운영 중인 리더들이 학습동아리 운영 활동을 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고 리더 개인의 변화가 공동체 학습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동체 학습을 운영하며 리더들은 어떠한 성장과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작은도서관 학습공동체 리더들의 공동체 활동 참여 맥락을 살펴보고 학습공동체 리더들의 학습동아리 운영 활동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학습공동체 리더들의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장과 변화는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 연구를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H시의 아파트 작은도서관에서 학습공동체를 운영 중인 6명의 학습공동체 리더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주된 자료 수집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학습동아리의 활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학습이 일어나는 작은도서관에 방문하여 일상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는 리더와 학습자의 무형식 학습의 모습을 스케치하며 참여 관찰했다. 면담과 참여관찰 후에 추가적으로 확인이 필요한 부분은 전화면담을 통해 보충하였다.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조금만 도움을 줄 마음에 쉽게 작은도서관에서 자원 활동가로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공동체와의 관계를 맺고 의도치 않게 관장이나 실무자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작은도서관 운영’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조직의 살림살이를 살피면서 혼자 할 수 없는 업무들과 해보지 않은 어려운 업무를 수행하면서 자원 활동가들과 지역의 선배들을 통해 배우며 공동체의 경험을 시작하였다. 자신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해 더 스스로 경험 있는 사람을 찾아 배우고 정보 검색을 통한 스스로 학습을 하며 시행착오를 거쳐 상황을 극복하며 공동체에 필요한 업무를 개척하고 다양하고 많은 업무, 본인의 역량보다 어려운 업무를 통해 리더로서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둘째, 학습공동체 리더들은 운영초기의 미숙함을 외부자원을 통해 보완했다. 스스로 해결 할 수 없는 경험의 공백을 외부의 자원을 이용하여 채우며 지역민들을 학습자로 성장 시키고 인적네트워크를 확대 시켰다. 확대된 관계망을 통해 학습공동체 리더는 학습자의 요구를 살피고 가장 적절한 자원을 찾아 필요한 학습 강좌를 기획하고 운영하며 관계 형성을 위한 학습동아리를 만들었다. 학습주체를 중심으로 학습의 주제를 선정하고 지역민과 자원봉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적으로 운영하였다. 더불어 학습의 필요에 따라 소수의 인원으로 유연한 학습 소모임을 만들고 자신도 공동학습에 적극 참여하여 헌식하고 애착을 형성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리더의 역할의 어려움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자원 활동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학습자 참여자와 자원 활동가 살피며 그들의 성장을 돕는 전략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학습공동체 리더들은 자신들이 처한 신도시의 새로운 인적네트워크 구성과 작은도서관 운영의 책임이라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며 지역사회와 학습자를 보는 마음과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고 반성하며 성찰을 통한 실천학습, 무형식학습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학습자의 칭찬과 신뢰를 통한 상호 소통 및 사회적 성찰은 학습공동체 리더에게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신의 역량에 대한 성찰로 관점을 변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선한 영향력'을 만든다는 목표의 수립과 실천학습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공동체 리더는 자발적인 봉사로 작은도서관 활동에 참여하고 직책 맡게 되면서 개인적인 활동이 아닌 공동체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을 하면서 공동체의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공동체의 구성원들과 상호학습을 통해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는 장면은 자발적인 무형식 학습의 특성을 그대로 내포하고 있었으며 구성원과의 협업을 통한 상호작용으로 공동체학습 리더의 자기성장과 아울러 그가 속한 공동체의 성장과 성숙을 동시에 추구하는 모습을 발견하였다. 둘째, 면담을 통해 공동체학습 리더들이 학습동아리를 기획·운영하는 방법은 ‘외부 자원 이용하기’, ‘관계형성하기’, ‘학습자의 요구 반영하기’, ‘소규모로 시작하기’, ‘내부자원 활용하기’로 분류 할 수 있었다. 필요한 경험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방법은 공동체학습 리더별로 다양하였고 부족한 업무역량을 학습 통해 메우며 자발적이고 유연한 학습을 공동체를 운영하였다. 셋째, 학습동아리 기획·운영을 통해 학습공동체 리더들은 학습동아리의 가치를 깨닫고 더 나은 활동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을 하며, 학습자의 재능을 키우고 발견하여 성장을 돕는 전략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연구의 제한점 7
4. 용어의 정의 8
가. 학습공동체 8
나. 학습공동체 리더 8
나. 자원 활동가 8
Ⅱ. 이론적 배경 9
1. 학습공동체와 학습동아리 9
가. 학습공동체의 개념 9
나. 학습동아리의 개념 14
다. 국내 소규모 학습 집단의 역사 19
라. 학습리더의 역할 23
마. 학습동아리 참여 목적 29
2. 작은도서관 33
가. 작은도서관의 개념 33
나. 사립 작은도서관의 역할 35
다. 법률상 작은도서관 38
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본 작은도서관 41
마. 작은도서관 관점에서 본 평생학습 47
3. 무형식학습 51
가. 무형식 학습의 개념 51
나. 무형식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3
다. 학습공동체와 무형식학습 56
Ⅲ. 연구방법 59
1. 연구방법 59
2. 연구대상 60
가. 연구지역 선정 60
나. 연구 참여자 선정 61
3. 자료의 수집 65
가. 심층 면담 66
나. 참여 관찰 67
4. 자료의 분석 68
5. 윤리적 고려 69
Ⅳ. 연구결과 71
1. 작은도서관 참여 맥락에서 나타난 학습 경험 71
가. 참여 맥락 72
1) 같이 한 번 해보자 72
2) 입주민 공동체 만들기 73
3) 갈등의 위기를 수습하기 위한 구원투수로 75
4) 유급활동가로 채용 76
나. 학습 경험 78
1) 더 경험 있는 사람에게 배우기 79
2) 맨땅에 헤딩하기 81
3) 학습자원 탐색하기 83
2. 학습동아리 기획운영의 특징 84
가. 외부 자원 이용하기 85
나. 관계 형성을 위한 학습동아리 만들기 89
다.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학습주제 선정하기 94
라. 소규모로 시작하기 97
마. 내부 자원 활용하기 98
3. 배움과 성찰을 통한 리더의 변화 101
가. 성장을 돕는 지원자 101
1) 이야기를 들어 주기와 반응 살피기 101
2) 가능성 살피기 102
3) 비슷한 사람 찾기 103
나. 다시 도전하는 사람 104
다. 사람들에게 힘을 얻는 사람 106
라.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 109
⋁. 논의 및 결론 112
1. 논의 112
2. 결론 11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