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활동경험 연구

초록/요약

사람은 끊임없이 학습한다. 학습은 언제, 어디에서나 일어나며 일상 속에 스며들어 익숙해졌다. 이러한 학습이 그 자체만으로 그치지 않기 위하여 평생교육은 공동학습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학습동아리는 구성원들의 목적에 따라 지속 여부가 달라지며 학습적 성장이 아닌 그저 경험하는 것으로 끝나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생명력이 짧은 학습동아리는 그간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이에 성인들의 시민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또 다른 공동학습의 형태인 협동조합이 대두되고 있다. 영리가 아닌 공익을 목적으로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사회의 여러 문제점 해결의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 협동조합은 공동학습의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설립된 협동조합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을 바탕으로 문화예술분야 협동조합의 활동도 두드러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학습의 또 다른 형태인 협동조합 중 S시의 신도시 G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문화협동조합 ‘참 좋은 수다’ 활동이 어떠한 공동학습의 특징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았다. ‘참 좋은 수다’의 사례를 통하여 구성원들의 활동참여 맥락과 활동을 통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또 활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개인의 성장과 변화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협동조합 활동으로 얻는 학습경험이 여성의 주체성 신장과 지역사회발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참 좋은 수다’는 2014년부터 활동한 문화협동조합으로 현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공동체의 상호작용을 밝히는데 적절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선정된 연구참여자들과 심층 인터뷰를 몇 차례 진행하였다. 참여관찰, 문헌자료, 온라인 블로그 및 언론매체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활동에서 나타나는 경험 속 학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참 좋은 수다’ 구성원들의 활동참여 맥락은 총 네 가지로 나타났다. 먼저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 참여하게 된 유형으로 진정한 ‘나’라는 존재를 알아가고 정말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과정의 매개체로 활동에 참여한 경우이다. 다음은 다른 구성원과의 접점을 통한 권유로 참여하여 활동의 확장 및 또 다른 학습의 실현을 기대하는 경우이다. 또 활동을 통한 학습으로 미래에 다른 비전을 실현하기를 희망하며 학습을 통한 지식의 변형과 정체성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공동실현의 목표와 가치에 뜻을 함께하여 공동학습의 테두리 안에서 개인의 문화예술적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 참여한 경우이다. 구성원들은 다양한 맥락으로 활동에 참여하였으나 활동을 통하여 ‘나’라는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토대로 성취감과 자신감 등 공동의 학습을 경험하면서 지속적인 참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참 좋은 수다’ 구성원들의 환경놀이 활동을 통한 경험은 갈등 속 문제 인식, 학습을 통한 실천, 현실과의 괴리감 속 위기,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성취의 형태로 나타났다. 먼저 구성원들은 익숙한 상태에서 익숙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함에 따른 경험의 변형을 통하여 문제를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는 번거롭지만 일상 속 환경을 보호하려는 태도로 이어져 경험을 통한 성장을, 성장은 놀이의 변화를 유발하는 순환의 과정을 거쳐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구성원들 내부의 문제가 아닌 외부와의 가치충돌에 의한 위기적 갈등과 직면하는 상황에서도 소통에 의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내부적으로 견고한 신뢰와 결속력을 다지며 갈등과 위기를 극복하였다. 이를 통하여 구성원들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공동의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성장을 넘어 공동체의 성장과 학습을 발현하여 자생성을 키우고 공동의 가치를 실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셋째, ‘참 좋은 수다’ 구성원들은 활동을 통한 학습의 경험을 토대로 다름에 대한 이해와 자신들만의 문화를 구축하며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존재로 성장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서로 다른 사람들과의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이해와 존중의 가치를 배우고 상호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과거 휴지기를 통하여 학습된 경험의 재해석을 기반으로 자신들만의 문화를 구축하고 공동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은 물론 운영방침 역시 새로이 정립해 나가고 있었다. 또한 활동을 매개로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자기화 과정을 통하여 주체성을 확립하고 스스로가 자기 주도성을 가진 존재로 성장하며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자신이 삶의 주인으로 자립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서로 다른 활동 배경에도 경험을 학습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갈등 상황 속 구성원들간의 적극적인 소통과 멘토의 조언을 편견 없이 수용하며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환경놀이라는 독특한 학습경험을 축적하여 타 공동체와는 다른 학습의 장을 형성하였고 온전한 사회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주도성을 가진 인격체로 변모하는 과정을 통하여 구성원 스스로의 자립을 실현하였다. 이는 전문성을 갖춘 평생교육사와의 멘토-멘티 지원과 여성 스스로가 구축한 자립과 경제적 독립 및 정체성 확립이라는 점에서 평생교육학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협동조합 7
가. 협동조합의 이해 7
나. 문화협동조합의 발생과 의의 18
2. 환경놀이 활동 24
가. 놀이의 개념적 논의와 그 속성 24
나. 환경놀이 속 평생교육 30
3. 환경놀이 활동에 내재한 학습경험 탐색 36
가. 학습경험 36
나. 공동학습과 문화예술공동체 40
다. 여성학습 43
Ⅲ. 연구방법 51
1. 질적 사례연구 51
2. 연구대상 54
가. 연구사례 : 문화협동조합 '참 좋은 수다' 54
나. 연구참여자 선정 62
다. 연구참여자 특성 63
3. 자료수집 및 분석 70
가. 자료의 수집 70
나. 자료의 분석 73
4. 연구의 윤리와 진실성 확보 75
5. 연구의 제한점 76
Ⅳ.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활동경험 78
1.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활동맥락 78
가. 찬장 속 예쁜 찻잔 같던 우리; I was Mom 79
나. 일상을 문화로 놀다, 경력전환을 위한 엄마의 시간 93
2.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환경놀이 활동경험 102
가. 갈등 : 일회용과 플라스틱의 굴레 102
나. 학습 : 천릿길도 한 걸음부터 106
다. 위기 : 괴리감의 늪에 빠지다 112
라. 성취 : 실컷 놀면서 지구도 지키고 싶어서 그랬어 117
3.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성장과 변화 124
가. 낯선 길에서 서로를 배우다, 우리는 너무 다른 사람 124
나. 참 좋은 수다만의 법칙 132
다. 낮 열두 시; 자기주도성과 당사자성 141
⋁. 논의 및 결론 156
1. 논의 156
가.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활동맥락 156
나.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환경놀이 활동경험 158
다. 문화협동조합 구성원들의 성장과 변화 161
2. 결론 및 제언 165
참고문헌 172
부록 18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