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품앗이 육아 과정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공동체 학습경험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 육아활동에서 나타난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품앗이 육아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 하였는지? 둘째, 이 경험 속에서의 의미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택하였고, 품앗이 육아를 경험한 7명의 어머니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육아와 관련된 다양한 서적과 홈페이지 등을 참고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학습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자료를 수집한 후 개방코딩, 범주화, 주제화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품앗이 육아 어머니들은 사회적 정서적으로 고립된 생활에서 세상과의 소통의 기회를 찾게 해주며 좋은 엄마가 되고 싶고 아이를 더 잘 키우고 싶은 욕구로 마주하게 되었다. 그리고 환경과 관계맺음의 상호작용을 통해 독립된 주체로 성장할 것에 기대를 드러내고 있었다. 다음은, 품앗이 육아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었다. 첫째,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에서 성인, 뿐만 아니라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관계를 맺어가는 과정에서 또 다른 관계를 맺고 싶다는 열망을 갖게 되고 그 관계 속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으며 사회관계망이 확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 관계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이타적 사고를 가지게 되어 타인에 대한 배려를 배울 수 있었고 관계가 지속됨으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했다.. 둘째, 갈등은 참여자 간의 화해와 적응을 바탕으로 성장해 나갔다. 갈등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수용의 태도, 상처주지 않게 말하는 법, 타인을 배려하는 자세 등 함께 살아가는 것에 대한 노하우를 쌓을 수 있었고 타인과 나를 비교하며 자신을 직면함으로써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도 하였다. 집단에서의 갈등에서는 책임감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의 경험을 재구조화하여 삶을 주도적으로 만들어나가고 있었다. 다른 관점과 시선으로 자신의 문제를 인지할 수 있었고 자신의 존재감을 인식하고 꾸준히 노력하여 자신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넷째,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배움이 일어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지식 공유는 지식을 주고받은 서로에게 지식 뿐 아니라 마음까지 폭넓은 확장으로 이어졌다. 구성원들의 각자의 강점으로 아이들을 교육함으로써 긍정적인 경험 낳았다. 마지막으로, 품앗이 육아활동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밝혀 보는 것이었다. 첫째, 여러 명의 구성원들과 함께 같은 관심사를 가지고 이야기를 나누는 행위 자체만으로 공감과 위로를 얻었다. 서로의 정서적 지지를 통해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고 양육 스트레스가 완화되면서 삶의 만족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둘째,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자신, 아이, 가족 그리고 공동체 전체로의 성장할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구성원이 가진 생각을 공유하고 공감하게 된다. 이 같은 과정으로 서로의 가치관을 공유하고 논의하면서, 예전에 지니고 있던 가치관이 전환되었다. 이러한 공동체학습으로 자신의 인격을 갈고 닦을 수 있었고 그러한 모든 환경과 상호작용이 그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 학습의 장이 되었다. 또한, 자신의 아이들을 매개체로 구성되었지만 엄마로써의 성장과 자기 자신으로써의 성장이 교차되면서 나에서 자녀로 자녀에서 가족으로 내 삶 전체에서 집단으로의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평생교육의 관점을 엿볼 수 있었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문제 6
제2장 이론적 배경 7
제1절 실천공동체 7
제2절 공동육아 18
제3절 공동육아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29
제3장 연구방법 35
제1절 질적 사례연구 35
제2절 연구참여자 37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 42
제4절 연구의 윤리 및 신뢰성 확보 45
제4장 품앗이 육아과정의 공동체 학습 경험 47
제1절 어머니들의 품앗이 육아 참여 맥락 47
제2절 어머니들의 품앗이 육아 경험 53
제3절 어머니들의 공동체 학습 경험 63
제5장 논의 및 결론 73
참고문헌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