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역량, 유아의 진로준비 간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역량, 유아의 진로준비 간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역량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아의 진로준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역량, 유아의 진로준비 간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남부지역의 일부인 수원시, 용인시, 화성시, 오산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5세 유아의 부모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91문항으로 부모의 일반적 배경 10문항, 부모의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 인식 8문항, 부모의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미래준비 인식 7문항, 부모의 영역별 미래핵심역량 27문항, 유아의 진로준비 3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의 신뢰도 평균값은 부모의 미래핵심역량은 .935, 유아의 진로준비는 .962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를 위해 통계 분석 절차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자인 부모의 일반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산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신뢰도(Cronbach’s a) 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부모의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미래준비 인식, 부모의 실제 미래핵심역량, 유아의 진로준비 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자녀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전반적 인식과 미래준비 인식, 부모의 실제 미래핵심역량, 유아의 진로준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χ2 검정과 t 검정, 일원 변량분석(F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일원 변량분석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집단 간 차이 규명을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아래와 같다. 첫째, 57.2%의 부모들이 미래핵심역량 단어를 들어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부모들은 미래핵심역량 단어를 접한 경로로 ‘신문, 인터넷 기사’, ‘TV 방송, 라디오’, ‘유아교육기관을 통해서’, ‘육아서적’, ‘회사 및 기업 설명회’, ‘기타’, ‘다른 부모를 통해서’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모들은 주로 미디어를 통해 미래핵심역량 단어를 인지 경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들은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인 미래핵심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중요도 순위에 있어 부모들은 창의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셋째, 미래핵심역량에 대한 관심을 조사한 결과, 98.8%의 부모들은 미래핵심역량에 관심을 가져야 된다고 생각하였고, 이 중 자녀의 행복한 삶과 미래준비를 위해서란 항목에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또한, 부모들은 미래사회에서 미래핵심역량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미래사회 유망 직업 분야에서는 ‘환경산업 직업분야’에서 각광받을 것 같다는 응답이 많이 보였다. 그리고 자녀의 미래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 다양한 차원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자녀의 미래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한 준비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의 기본 교육과정 외 추가적인 교육과정과 사교육을 통한 준비의 필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전체적인 영역별 미래핵심역량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미래핵심역량 전체에서는 부모의 성별, 가정 월 소득, 자녀의 출생순위, 미래핵심역량 단어 인지 여부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일부 항목은 부모의 연령, 부모의 성별, 부모의 학력, 부모의 가정 월 소득, 자녀의 출생순위, 미래핵심역량 단어 인지 여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본 교육과정이외 추가적인 교육과정 요구 여부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의 전체적인 진로준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가정 월 소득,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기본 교육과정 외 추가적 교육과정 필요도, 사교육 준비 필요도 등에서 부모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 부모의 미래핵심역량과 유아의 진로준비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의 미래핵심역량 인식, 실제 미래핵심역량, 유아의 진로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유아교육현장과 국가 차원의 지원·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유아교육과정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1. 미래핵심역량 6
2. 유아의 진로준비 19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연구도구 29
3. 연구절차 35
4. 자료 분석 및 해석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7
1. 부모의 미래핵심역량 37
2. 유아의 진로준비 59
3. 부모의 미래핵심역량과 유아의 진로준비 간의 관계 66

Ⅴ. 논의 및 결론 69
1. 논의 69
2. 결론 82
3. 제언 83

참고문헌 85
부록 9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