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job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nurs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과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S시 소재 일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총 임상경력 6개월 이상 간호사 19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8일부터 15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재직의도는 Cowin(2002)이 개발하고 김민정(2006)이 수정·보완한 재직의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배태성은 Mitchell 등(2001)이 개발한 직무배태성 도구를 김은희 등(2012)이 수정·보완한 측정 도구를, 직무만족도는 Slavitt등(1978)이 개발하고, 박정혜(2002)가 번역한 측정 도구를 각각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증 후 연구목적 및 측정변수의 척도 수준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직의도 평균평점은 4.50±1.41점(8점 만점), 직무배태성 평균평점은 3.15±0.41점(5점 만점)이며 직무만족도 평균평점은 2.79±0.38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2. 재직의도는 직무배태성(r=.46, p<.001), 직무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 p<.001)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는 임상 경력(F=4.45, p=.010), 현 부서경력(F=4.08, p=.018), 직위(t=-3.27, p=.001), 이직경험(t=2.19,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최종 모형에 대한 총 설명력은 32.9%로 나타났다(R²=.329, Adjusted. R²=.311, p<.001). 재직의도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무배태성(△R2=.176, β=.17, p =.041)과 직무만족도(△R2=.080, β=.38, p<.001)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의도는 이직경험(더미변수 ‘이직경험 무’ 기준)이 있을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β=.15, p =.022). 본 연구를 통해 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무배태성 하위영역 중 적합성(β=.18, p=.043),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중 전문적 수준(β=.43, p<.001)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tion to stay, job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nurses and verifies the effect factors on the intention to stay as a hospital nurse. Participants were 191 nurses who worked at least 6 months in a university hospital based in Suwon Gyeonggi-do,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8 to 15, 2019 after getting an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w Board. We used the intention to stay scaled developed by Cowin(2002) and translated by Kim(2006); Job embeddedness Scale developed by Mitchell(2001) and modified by Kim(2012); and Job satisfaction Scale developed by Slavitt(1987) and translated by Park(2002).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by means of using SPSS/Win 25.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s of intention to stay, job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4.50 points (out of 8 points), 3.15 points (out of 5 points), and 2.79 points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2.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tion to stay according to work experience(F=4.45, p=.010), current department experience(F=4.08, p=.018), job title(t=-3.27, p=.001) and turnover experience(t=2.19, p=.030). 3. The intention to stay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embeddedness(r=.457, p<.001) and job satisfaction(r=.495, p<.001). 4.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intention to stay were job satisfaction (β=.38, p<.001, △R2=.080) and job embeddedness(β=.17, p =.041, △R2=.176). The total explanatory variance was 32.9%(R²=.329, Adjusted. R²=.311, p<.001)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meaningful effect factors on the intention to stay were the organization fit(β=.18, p=.043) among attributes of Job embeddedness and the professional level(β=.43, p<.001) among attributes of Job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an intervention strategy and program to improve the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stay.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7
A. 재직의도 7
B. 재직의도 관련요인 10
1) 직무배태성 10
2) 직무만족도 13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자 16
C. 연구도구 16
D. 자료수집방법 18
E. 윤리적 고려 19
F. 자료분석방법 19
Ⅳ. 연구결과 2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정도 23
1)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재직의도 정도 23
2)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문항별 정도 25
3) 연구대상자의 직무배태성 문항별 정도 27
4)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도 문항별 정도 29
C.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32
D.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34
1)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의 관계 34
2)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 직무배태성, 직무만족도 하위영역 간의 관계 35
E. 연구대상자의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7
Ⅴ. 논의 39
Ⅵ.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