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학습경험 : '사랑의 하모니' 장애인 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합창을 매개로 한 실천학습공동체인 ‘사랑의 하모니’ 장애인 창단단 구성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천학습공동체의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실현기제로서 관심과 기대가 높고,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습의 주체자가 되는 실천학습공동체에 장애인이 참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합창이라는 공동의 관심사를 공유하는 장애인 구성원들의 학습과 실천이 전제된 합창활동 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학습경험은 어떠한 특징과 양상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탐구는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개인적 차원’, ‘상호관계적 차원, ’공동체적 차원‘ 으로 나누어 구성원들의 참여 맥락과 상호 학습, 실천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랑의 하모니’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애인 구성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자들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구성원들의 참여 맥락은 사회생활에 대한 필요성과 재활의 목적, 배움에 대한 아쉬움을 참여 동기로 꼽았다. 장애에 의한 부정적인 경험들은 이들로 하여금 새로운 변화의 필요성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것이 참여동기로 작용하여기도 하였다. 장애인 구성원들의 소외된 삶의 경험과 맥락은 공동체의 학습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재성찰하여 자기 자신을 마주보고자 했으며, 공동체 참여를 통해 삶의 의지와 태도를 변화시켜 나갔다.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장애를 가진 자신도 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으며, 관점이 넓어지면서 자신의 삶에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둘째, 공동체의 관계를 유지하고 지속시키며 실천을 수행하게 하는 원동력은 공동학습과 지속적인 배움에 대한 열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장애인 구성원들은 장애라는 공통의 공감대를 형성하여 호혜성을 기반으로 한 관계맺을 통해 특유의 공동체 문화를 만들어나갔다. 장애인 합창단이라는 특수함이 반영된 장애인 구성원의 이동상의 어려움, 교육방법의 차이 등으로 위기와 갈등에 직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개인의 문제가 아닌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여 상호 연대하며 합의점을 찾아나갔다. 그리고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공동학습을 함으로써 이타적 공진화가 발생하였으며, 학습은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고 주체성을 회복하는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상호 호혜성을 기반으로 형성 된 배움에 대한 열정은 장애인 구성원들의 정체성과 소속감을 강화시켰으며 공동체가 유지되는 원동력이 되었다. 셋째, 장애인 구성원들은 배운 것을 공동체를 넘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실천과 참여에 적용하였다. 실천을 통해 지역주민들과 관계를 유지하고 상호작용하는 연대를 이끌어냄으로써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나’ 에게서 나아가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은 개인이 속한 공동체 사회의 조화로운 통합과 성숙으로 확대되어 인간존재 가치를 회복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집단적 지성과 역동의 순환의 과정은 상호 간의 관계맺음에 따른 가치를 형성하고 공동체가 진화하고 변화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구성원들이 실천학습공동체에 합법적 주변참여로 시작하여 완전한 참여로 나아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학습과의 만남을 통해 노래에 흥미를 느끼고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장애에 대해 새롭게 돌아보게 했다. 무대위에서의 긍정적인 경험들은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관념에서 빠져 나오게 했으며, 장애를 가진 자신도 세상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며, 필요로 하는 곳이 있음을 알게 되면서 사고방식과 행동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사랑의 하모니 구성원들은 배움을 통한 성찰에 만족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연대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실천하면서 완전한 참여에 도달하게 된다. 이 연구는 장애인의 학습을 매개로 한 자생적 실천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학습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인간존재 가치의 회복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의 실천 가능성을 공동체에서 찾고자하는 대안적 수단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사랑의 하모니 사례를 통해 장애인 당사자의 시각에서 연구 참여자들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매락과 상호작용에서의 학습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고자 한다.

more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II. 이론적 배경 6
1. 실천학습공동체에서의 상황학습 6
가. 상황학습의 의미와 맥락 6
나. 상황학습 참여자들의 실천학습공동체 8
2. 실천학습공동체에서의 참여와 학습 13
가. 실천학습공동체의 특성 13
나.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변화 21
다. 실천학습공동체의 참여와 학습 25
III. 연구방법 32
1. 질적 사례연구 32
가. 연구사례 33
나. 연구 참여자 36
2. 연구도구 39
가. 자료수집 40
나. 심층면담 40
3. 자료분석 43
4. 연구의 윤리와 진실성 확보 44
IV. 실천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학습경험 46
1. '사랑의 하모니' 구성원들의 학습참여 맥락과 특성 46
가. 우리는 노래가 하고 싶어요 46
나. 장애라는 높은 벽을 넘어 세상밖으로 나오다 50
다. 나는 세상에 필요한 소금이다 55
2. '사랑의 하모니' 구성원들의 관계맺음 60
가. 사랑: 나도 모르게 사랑하게 되었다 60
나. 갈등: 각자성을 가지고 전체의 합을 이루다 64
다. 학습: 노래는 내 삶의 환희로 가득찬 꽃이다 70
3. '사랑의 하모니' 구성원들의 실천의 모습 74
가. 함께합시다. 친절한 목소리들 74
나. 희망을 몰고 온 노래들 78
다. 아름다운 꿈, 현명한 자의 것 82
V. 논의 및 결론 87
1. 논의 87
2. 결론 및 제언 92
참고문헌 9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