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Readers Theater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창성, 독해력, 정의적 요인 중심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Readers Theater 활동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영어 읽기 유창성, 독해력, 그리고 정의적 영역인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Y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 26명을 대상으로 11월 중순부터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을 총 6주 동안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모두 같은 반 학생들이고 연구자는 이들의 담임교사로 재량활동과 아침활동 시간을 사용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을 위하여 선정한 영어 동화책은 The Gruffalo와 Uwungelema & Bibimbap Band로 이들은 책 내용 중에 반복되는 문장이 많고, 두운과 각운 등의 운율이 풍부하여 내용과 상관없이 소리 자체로도 충분히 즐겁고, 학생들의 흥미를 촉발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이노경, 2016), 전체 단어 중에서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의 비율이 90~94% 정도가 되어 Readers Theater 활동을 위한 영어책 선정 기준에 부합하였다(Rasinski, 2004).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 독해력,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WCPM(Word Correct Per Minute) 방법, 지필 평가지, 그리고 5단계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후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이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 26명의 읽기 유창성, 독해력,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반복 측정 분산 분석(RM ANOVA)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 전과 후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 평균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Readers Theater 활동을 하면서 읽기 유창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요소인 유창하게 읽는 것을 시범 보이기, 읽고 있는 학생들을 가까이에서 돕기, 그리고 반복 읽기를 모두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둘째,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 후 학생들의 독해력 의 평균은 상승하였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함이 판명되었다. 독해력은 읽기 유창성이 향상되면서 동반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 전과 후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이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호기심을 느낄 대본을 선정하여 모둠 친구들과 서로 협동하며 공연을 준비하고, 성공적인 무대 경험을 하게 되었던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위에서 이야기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읽기 유창성 개발은 영어 읽기를 시작하는 초등학교 3학년 시기부터 비중있게 다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 수준을 판별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학년별 읽기 유창성 지수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Readers Theater 대본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해야 한다. 넷째, Readers Theater를 활용한 영어 읽기 수업의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하여 Readers Theater 활동을 수업에 적용하는 기간과 대상의 규모를 달리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2.1 읽기 6
2.1.1 읽기 유창성 7
2.1.2 읽기 유창성 향상 전략 10
2.2 Readers Theater 12
2.2.1 Readers Theater 특성 및 효과 13
2.2.2 Readers Theater 활용 수업 선행 연구 15
2.2.2.1 L1 환경 15
2.2.2.2 L2 환경 17

Ⅲ. 연구방법 22
3.1 연구 대상 22
3.2 연구 설계 24
3.2.1. 영어 동화책 선정 25
3.2.2 수업 절차 27
3.3 분석 도구 34
3.3.1 읽기 유창성 분석 도구 35
3.3.2 지필 평가지 및 흥미도와 자신감 분석 도구 36
3.4 분석 방법 3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9
4.1 읽기 유창성 39
4.2 독해력 41
4.3 정의적 영역 44
4.3.1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44
4.3.2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 46

Ⅴ. 결론 및 제언 49
5.1 결론 49
5.2 제언 51

참고문헌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