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지역별 배출량 비율을 고려한 PM2.5 기여도 분석 방법론의 적용 및 평가

An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PM2.5 Source Apportionment Methodology Based on Regional Emission Rate

초록/요약

국내 연평균 PM2.5 농도는 많은 지역에서 대기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이러한 초과 지역에서는 대기질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내 대기질 관리는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나 “대기환경규제지역”의 실천계획 등에서 일부 지역에 대한 개선책이 마련되어 왔다. 다만, 전국 범위의 PM2.5 농도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전 지역에 걸친 PM2.5 관련 배출량 관리와 해당 지역의 자체 및 인접 지역 배출원의 기여도나 영향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여도 분석은 주로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진행되어 왔으나, 배출량 관리 측면에서는 기초 지자체 수준의 기여도 분석을 통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 지자체 수준에서 산정된 PM2.5 기여도를 배출량 비율로 분배하여 기초 지자체의 기여도를 추정하는 기여도 할당 방법을 국내에 적용하고, 그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기여도 할당을 위해 PSAT (Particulate Source Apportionment Technology; Dunker et al., 2002)으로 광역 지자체에서 전국에 미치는 PM2.5 기여도를 우선 산정하였다. 적용성 평가는 크게 세 단계에 걸쳐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PSAT으로 직접 산정된 기여도와 및 할당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는 공간적인 영향 범위를 평가하였다. 세 번째로는 PSAT 기여도와 기여도 할당 기여도의 편차를 수용 지역 범위 설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more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적 고찰 3
2.1 대기질 모델 3
2.2 기여도 분석 방법론 4
2.3 기여도 할당 방법 6
제3장 연구방법 8
3.1 기상 모델 8
3.2 배출량 모델 9
3.3 대기질 모델 10
3.4 기여도 할당 방법 12
3.4.1. 적용 방법 12
3.4.2. 충청남도 기초 지자체별 배출 비율 14
제4장 연구 결과 20
4.1 모사 수행평가 20
4.2 기초 지자체 PM2.5 기여도 분석 결과 24
4.2.1. 배출 부문 종합 24
4.2.2. 배출 부문 구분 (점, 선, 면) 30
4.3 기여도 할당의 적용 평가 36
4.3.1. 영향 범위 평가 36
4.3.2. 편차 검토 40
제5장 결론 45
참고문헌 47
Abstract 5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