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진로장벽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초록/요약

본 연구는 역량 있는 유아교사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진로장벽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교원양성과정 중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장벽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4.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진로장벽, 교사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 대학교 3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3학년 예비유아교사 405명이다. 본 연구는 그릿, 대학생진로탐색장애검사(KCBI), 교사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진로결정여부, 전공만족도, 실습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진로장벽을 보통 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진로결정여부, 전공만족도, 실습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진로결정여부, 전공만족도, 실습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그릿과 진로장벽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릿과 교사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진로장벽과 교사효능감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1. 그릿
가. 그릿의 개념 및 중요성
나.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2. 진로장벽
가. 진로장벽의 개념
나.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진로장벽
3. 교사효능감
가. 교사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
나. 교사효능감의 구성요인
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4. 그릿, 진로장벽, 교사효능감의 관련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가. 그릿
나. 진로장벽
다. 교사효능감
3. 연구 절차
가. 예비 조사
나. 본 조사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수준
2. 예비유아교사의 진로장벽 수준
3.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
4.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진로장벽, 교사효능감의 관계

Ⅴ.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3. 제언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