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매개효과를 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자기연민이 언어적 공격성과 신체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매개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가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연민,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격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두 곳에서 381명의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36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기연민, 자기수용, 타인수용,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 21.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대-최대화 방법을 사용하여 결측치를 제거하고, 기술통계치를 실시하여 주요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를 구하였다. 하나의 잠재변수에 많은 관측변수들이 있어 항목묶기(item parcel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2단계 접근법을 따랐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생성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으로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연민, 자기수용과 타인수용, 공격성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변인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먼저 자기연민과 자기수용, 타인수용 간에는 가장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관계에서도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공격성은 자기연민, 자기수용, 타인수용과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공격성의 하위요인인 언어적 공격성은 자기수용, 타인수용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다. 둘째,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우, 공격성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자기연민이 공격성을 감소시키는데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순차적으로 매개할 때 효과적인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기연민이 자기수용을 높이고, 높아진 자기수용은 타인수용을 높이며, 타인수용은 공격성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연민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자기연민 7
가. 자기연민의 개념 7
나. 자기연민과 유사개념 9
다. 자기연민과 자기수용 및 공격성의 관계 10
2. 공격성 11
가. 공격성의 정의 11
나. 공격성의 유형 13
3. 자기수용 14
가. 자기수용의 정의 14
나. 자기수용의 특성 15
다. 자기수용과 타인수용 및 공격성의 관계 17
4. 타인수용 19
가. 타인수용의 정의 19
나. 타인수용의 특성 20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3
가. 자기연민척도 23
나. 자기수용척도 24
다. 타인수용척도 25
라. 공격성척도 27
3.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30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0
2. 측정모형 분석 32
가. 문항묶기(Item Parceling) 32
나.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33
다. 측정모형의 타당도 분석 34
3. 구조모형 분석 35
가.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36
나.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36
다. 구조모형의 매개효과 검증 39

Ⅴ. 논의 및 결론 43
1. 요약 및 논의 43
2.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 61
부록 1. 자기연민척도 62
부록 2. 자기수용척도 64
부록 3. 타인수용척도 65
부록 4. 공격성척도 6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