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경향성과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존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정서적 학대와 방임만을 하위변인으로 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접적인 정서적 학대인 부부폭력노출경험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정의를 토대로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 경향성과 부정적 자기개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지를 검증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아동기 정서적 외상, 사회불안, 수치심경향성, 부정적 자기개념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 중 외상이 있다고 응답한 539명의 결과만을 SPSS 23.0과 AMO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기 정서적 외상의 하위변인들인 정서적 학대와 방임, 부부폭력노출경험 역시 모두 같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정서적 외상을 직접적인 학대인 정서적 학대와 방임으로만 정의하여 사용되어왔으나 간접적인 정서적 학대인 부부폭력노출 또한 기존에 연구되어왔던 정서적 외상과의 관련 변인들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치심 경향성과 부정적 자기개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며, 그 결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사회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이 아닌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아동의 수치심 경향성이 증가됨에 따라 부정적 자기개념이 형성되고 그로 인해 사회불안을 겪게 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담자는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자기개념을 확인하고, 그 이면에 있는 정서인 수치심을 함께 다루는 개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내담자의 경우, 수치심을 느낀 상황에 대해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 그것으로부터 발생된 왜곡된 자기에 대한 신념을 자각하도록 하여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불안에 대한 상담적 개입과 아동기 정서적 외상으로 발생되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예방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기 정서적 외상
2. 수치심 경향성
3. 부정적 자기개념
4. 사회불안
5. 아동기 정서적 외상, 수치심 경향성, 부정적 자기개념, 사회불안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절차
3. 측정도구
가. 아동기 정서적 외상
나. 사회불안
다. 수치심 경향성
라. 부정적 자기개념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 계수
2. 측정모형 분석
3. 구조모형 분석
가.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나.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분석
다. 매개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