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하수처리장 운영인자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Operational Factors of Sewage Treatment Plant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오산 제2공공하수처리시설을 운영․관리하면서 기록해온 각 공정별 수질분석 자료, 운영일지 등을 토대로 연구대상 시설의 유입수 및 방류수가 가지고 있는 시계열적인 경향성을 분석하고, 단위공정 운영인자 간 또는 단위공정 운영인자와 방류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대상 시설의 운영인자들이 가지는 고유의 경향성 및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안정적인 처리수질을 유지할 수 있는 운전조건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입하수량과 유입수질 모두 설계대비 낮은 수준에서 유입되고 있었으며, 유입수의 C/N비는 설계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류수질은 BOD, COD, SS, T-N, T-P 5개 항목 모두 하수도법에서 규정한 방류수질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기조 MLSS가 증가함에 따라 SV30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SVI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RT와 HRT는 설계기준보다 높게 운영되고 있었으며, SRT의 증가시에는 방류수질이 개선되는 반면, HRT의 증가시에는 방류수질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용적부하, F/M비는 설계기준보다 낮게 운영되고 있었으며, 설계기준에 근접할수록 제거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Ⅱ. 이론고찰 4
1. B3공법의 개요 및 제거원리 4
1.1 B3 공법의 개요 4
1.2 B3 공법의 원리 6
1.2.1 바실러스속 세균의 우점화 방법 6
1.3 B3반응조 각 실별 특징 8
1.3.1 제1실(바실러스 우점화) 8
1.3.2 제2실(사상체 해체시작) 8
1.3.3 제3실(사상체 해체 및 내생포자 형성) 8
1.3.4 제4실(포자형성) 8
2. 하수처리장 주요 운영인자 10
2.1 수온 10
2.2 SRT 10
2.3 유기물부하 12
2.4 미생물농도 14
2.5 SV30과 SVI 15
2.6 C/N비 16

Ⅲ. 오산 제2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 17
1. 하수처리시설 개요 17
2. 처리공정도 19
3. 주요시설물 현황 20

Ⅳ. 연구방법 21
1. 분석자료 21
2. 결과의 상관성 해석 22

Ⅴ. 유입수 및 방류수 경향 분석 23
1. 유입수 경향 분석 23
1.1 유입하수량 변화 23
1.1.1 월별 및 계절별 유입하수량 변화 24
1.1.2 일별 유입하수량 변화 25
1.2 유기물질(BOD, COD) 및 부유물질(SS) 성상 변화 27
1.2.1 월별 및 계절별 유입수질 변화 28
1.2.2 일별 유입수질 변화 32
1.3 영양염류(T-N, T-P) 성상 변화 33
1.3.1 월별 및 계절별 유입수질 변화 34
1.3.2 일별 유입수질 변화 38
1.4 유입수 C/N비 변화 39
2. 방류수 경향 분석 40
2.1. 유기물질(BOD, COD) 및 부유물질(SS) 성상 변화 40
2.1.1 월별 및 계절별 방류수질 변화 40
2.1.2 일별 방류수질 변화 42
2.2 영양염류(T-N, T-P) 성상 변화 43
2.2.1 월별 및 계절별 방류수질 변화 43
2.2.2 일별 방류수질 변화 45

Ⅵ. 하수처리장 운영인자 상관관계 분석 46
1. 포기조 수온과 MLSS 농도와의 관계 46
2. MLSS와 SV30 및 SVI와의 관계 48
3. 포기조 수온과 방류수질과의 관계 49
4. SRT와 방류수질과의 관계 50
5. 포기조 HRT와 방류수질과의 관계 52
6. BOD용적부하와 오염물질 제거효율과의 관계 53
7. F/M비와 오염물질 제거효율과의 관계 55

Ⅶ. 결론 및 고찰 57

참고 문헌 6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