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etails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에 따른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 :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Perception of Happiness as a Learning Benefit According to the Learning Tendencies of Adult Learner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과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과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 자기효능감 및 학습몰입 간의 구조모형의 적합도와 독립, 매개, 종속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은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에서 평생교육 6대 영역 중 학력보완교육, 직업능력교육, 문화예술교육, 인문교양교육, 시민참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적이 있는 성인학습자로 제안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수집은 설문지와 구글 드라이브의 온라인 설문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의 참여자는 오프라인을 통해 2018년 9월 22일부터 9월 26일까지 약 5일간 진행하였다. 전체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 수집된 설문지 266부 중 불성실 응답과 지나치게 결측치가 많은 설문지를 제외하고 24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조사는 2018년 9월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실시되었다. 온라인 설문 URL을 성인학습자 500명에게 전달하였으며, 총 453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 학습자 성향은 Houle(1961)의 이론을 근거로 Morstain과 Smart(1974), Boshier(1977)과 최운실(1986)가 제안한 요소를 사용한 김대명(2014)의 도구, 자기효능감은 Bandura(1977)의 이론을 근거로 Campbell(1981)과 김아영 외(2001)가 제안한 요소들을 토대로 별도의 문항을 연구자가 개발한 척도, 학습몰입은 Jackson과 Marsh(1966)가 개발한 Flow State Scale(FSS)를 사용한 김진호(2002)의 척도, 행복감은 고은현과 이성(2014)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1과 연구 2를 통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조사도구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한 자료는 SPSS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각 측정도구별로 KMO분석을 통해 자료의 요인분석 타당성을 검증하고, 주축요인법과 사교회전(oblique rotation) 방법 중 direct oblimin을 이용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각 측정도구별로 전체 문항뿐만 아니라 하위요인들까지 Cronbach's ⍺를 확인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저해하는 문항들을 제거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구조방정식 분석 패키지인 AMOS 23을 이용하여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형 검증 그리고 연구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이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표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의 3가지 학습자 성향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의 모형적합도는 χ2=310.572(df=104, p<.001), CFI=.956, NFI=.936, TLI=.942, RMSEA=.066로 나타나 수용 가능한 모형적합도로 확인되었다. 목표지향은 자기효능감(β=.157, p<.05)과 학습몰입(β=.141, p<.05)에 직접 영향을 주는 반면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다(β=.028, p=.579). 활동지향은 자기효능감(β=.140, p<.05)과 행복감(β=.155, p<.05)에는 직접 영향을 주는 반면 학습몰입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다(β=.060, p=.267). 학습지향은 자기효능감(β=.352, p<.001), 학습몰입(β=.389, p<.001)뿐만 아니라 행복감(β=.339, p<.001)에도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 성향의 차별적 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자기효능감은 학습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β=.400, p<.001) 반면 행복감에 주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β=.040, p<.411). 학습몰입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β=.472, p<.001). 학습지향이 학습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주는 간접효과(b=.199, BCI 95%: .117~.304)와 학습지향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b=.071, BCI 95%: .038~.124)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나머지 간접경로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분석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지향, 활동지향, 학습지향의 3가지 성인학습자 성향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조모형은 수용 가능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성향, 학습성과로서의 행복감 인식,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을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둘째, 목표지향은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지향은 자기효능감과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향은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개별적으로 성인학습자 성향을 구분하여 차별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교육프로그램을 설정할 때 실증적인 근거에 의해 각각의 성향을 파악하여 목적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 성향 중 목표지향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행복감을 증진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지향은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통해 행복감을 증진시키지 못하지만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활동지향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지향은 자기효능감뿐만 아니라 학습몰입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으로 행복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이루어지지 못했던 평생학습의 궁극적인 목표인 개인 삶의 질 향상과 자아실현, 행복감 인식을 실증적인 연구방법으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기본 틀을 제공한 것이다. 학습지향 동기는 평생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평생학습이 존재하는 이유이므로 학습지향 동기의 향상을 통해 행복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학습지향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BeLL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Manninen 외, 2014). BeLL 프로젝트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는 자기가 배우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인식할 때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습이 이루어질 때 자신의 자원을 아낌없이 활용함으로써 학습에 몰입하게 된다. 또한, 자신의 학습에 책임감을 인식하게 되어 이러한 학습과정에서 학습성과로서 자기 삶의 안녕감을 느끼게 된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실증적인 성인학습자의 성향인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형과 행복감 인식,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대해 각각의 변인들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향에 대해 좀 더 자세한 이해와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인학습자의 성향을 단순히 목표지향형, 활동지향형, 학습지향으로 양적 설문지 안에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질적 연구를 통해 성인학습자의 풍성한 학습성향에 대해 파악하는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적 설문지를 통한 성인학습자의 주관적 인식을 측정하였기에 실험적이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인터뷰와 사례를 통한 다양한 인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표집을 설정한 연구이므로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에서 평생학습에 참여한 성인학습자 대상의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more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학습성향 8
2. 학습성과 13
3. 관련 변인들의 관계 24

Ⅲ. 연구방법 35
1. 연구모형 및 변인설정 35
2. 연구절차 40
3. 연구대상 및 수집방법 40
4. 측정도구 46
5. 자료분석 61

Ⅳ. 연구결과 64
1.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64
2. 상관분석 및 기초통계 74
3. 측정모형 검증 76
4. 연구모형 검증 79
5.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습자 성향과 행복감의 차이검증 83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89
1. 요약 89
2. 논의 91
3. 결론 및 제언 96

참고문헌 100
부록 118
Abstract 13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