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예비교사 수업연구공동체를 통한 수업전문성 신장 사례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연구공동체라는 모임을 형성하여 공동체 활동이 수업전문성 신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관찰하였다. 여기서 공동체란 6명의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녹화한 VTR을 스스로 관찰하여 자기반성을 실시하고 동료장학을 통해 피드백을 받으며 전문가의 조언이 이루어지는 모임이다. 또한 수업전문성은 교사의 PCK로 정의하여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수업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수업이 어떻게 발전하는지 관찰하는 것이 목적이며, 특히 어떤 변인에 의해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개선해 나가는지 관심을 갖고 있고 교사 PCK의 영역 중 어느 부분이 주로 발달하는지 관심을 갖는다. 결론적으로 예비교사들은 교사 PCK라고 인정되는 영역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없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수업전문성으로 규정한 기준들에 대해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반성과 동료장학의 질이 떨어졌으며, 수업 외적이 것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수업의 변화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주었던 것을 전문가의 조언임을 찾을 수 있었다. 전문가의 조언이 이루어졌다고 해도 수업이 발전하는 속도는 느렸지만 연구가 계속될수록 예비교사들은 PCK에 대한 나름의 개념을 스스로 형성하는 것을 반복되는 수업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비전문가인 예비교사들끼리의 모임에서 수업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활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보았고, 실제로 수업전문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PCK에 대한 사전 교육이 있어야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실제 현직교사가 되었을 때 전문성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향후 어떠한 사전 교육이 필요한지 시사하는바가 있으며 PCK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와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more

목차

목 차

논문요약 ⅰ
목차 ⅲ
표 목차 ⅴ
그림 목차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5
1. 수업반성 5
가. 수업 5
나. 반성 8

2. 내용교수지식(PCK) 11
가. PCK의 개념 11
나. 교사지식과 PCK 17

3. 수업연구공동체 24

4. 선행연구 26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절차 30
3. 연구도구 30
가. 수업연구공동체 30
나. VTR 31
다. 동료장학 32
라. 전문가 조언 33
마. 수업분석체크리스트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1. 예비교사 A 38
2. 예비교사 B 51
3. 예비교사 C 64

Ⅴ. 결론 및 제언 75
참고문헌 80
표 목차

<표 1> 수업 계획 단계의 PCK영역 및 관련 교수활동 요소 23
<표 2> 연구대상 29
<표 3> 연구절차 30
<표 4> 수업 피드백 양식지 32
<표 5> 본 연구에 사용된 수업분석틀 35
<표 6> 예비교사 A의 교수전략 수업분석 38
<표 7> 예비교사 A의 교수전략 동료피드백 39
<표 8> 예비교사 A의 교수전략 자기반성 39
<표 9> 예비교사 A의 교수지식 수업분석 43
<표 10> 예비교사 A의 교수지식 동료피드백 43
<표 11> 예비교사 A의 교수지식 자기반성 43
<표 12> 예비교사 A의 학생이해 수업분석 45
<표 13> 예비교사 A의 학생이해 동료피드백 45
<표 14> 예비교사 A의 학생이해 자기반성 45
<표 15> 예비교사 A의 수업 기술 및 전반 동료피드백 49
<표 16> 예비교사 A의 수업 기술 및 전반 자기반성 50
<표 17> 예비교사 B의 교수전략 수업분석 51
<표 18> 예비교사 B의 교수전략 동료피드백 52
<표 19> 예비교사 B의 교수전략 자기반성 52
<표 20> 예비교사 B의 교수지식 수업분석 56
<표 21> 예비교사 B의 교수지식 동료피드백 56
<표 22> 예비교사 B의 교수지식 자기반성 56
<표 23> 예비교사 B의 학생이해 수업분석 58
<표 24> 예비교사 B의 학생이해 동료피드백 58
<표 25> 예비교사 B의 학생이해 자기반성 59
<표 26> 예비교사 B의 수업 기술 및 전반 동료피드백 61
<표 27> 예비교사 B의 수업 기술 및 전반 자기반성 62
<표 28> 예비교사 C의 교수전략 수업분석 64
<표 29> 예비교사 C의 교수전략 동료피드백 64
<표 30> 예비교사 C의 교수전략 자기반성 65
<표 31> 예비교사 C의 교수지식 수업분석 67
<표 32> 예비교사 C의 교수지식 동료피드백 68
<표 33> 예비교사 C의 교수지식 자기반성 68
<표 34> 예비교사 C의 학생이해 수업분석 69
<표 35> 예비교사 C의 학생이해 동료피드백 69
<표 36> 예비교사 C의 학생이해 자기반성 70
<표 37> 예비교사 C의 수업 기술 및 전반 동료피드백 73
<표 38> 예비교사 C의 수업 기술 및 전반 자기반성 74


그림 목차

[그림 1] Marks(1990)가 제시한 PCK의 구조 16
[그림 2] An 외(2004)가 제시한 PCK 네트워크 17
[그림 3] 교사 지식의 영역들 간의 관계 20
[그림 4] PCK와 교사 전문 지식 영역의 관계 20
[그림 5] 수학과 PCK 분석틀 34
[그림 6] 예제 문제를 출력해서 칠판에 붙이고 수업하는 모습 40
[그림 7] 확률계산을 대수적인 조작으로 접근하는 모습 40
[그림 8] 학생 주변 상황과 연결된 예제를 선택하는 모습 49
[그림 9] 이차함수와 직선의 교점이 정수해가 나오지 못한 장면 53
[그림 10] 전문가의 조언을 받기 전 수업의 모습 55
[그림 11] 학생들의 사고력을 자극하기 위해 표를 도입하는 모습 55
[그림 12]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복습하는 모습 58
[그림 13] 그래프를 그리고 축을 그리는 모습 63
[그림 14] 그래프를 그리고 축을 그리는 모습 63
[그림 15] 축을 그리고 그래프를 그리는 모습 63
[그림 16] 교과서를 옮겨 적듯이 개념설명을 하는 모습 65
[그림 17] 원 모양을 사물을 소개하는 모습 66
[그림 18] 부등식의 영역을 표를 이용해 대수적으로 보여주는 모습 67
[그림 19] 동기부여를 위해 원모양이 쓰이는 예를 가져온 모습 71
[그림 20] 동기부여를 위해 원이 가지는 효율성을 소개하는 모습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