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낙관성과 감사, 역경후성장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낙관성과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감사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일반 성인 411명을 대상으로 낙관성, 감사, 정서인식명확성, 조망수용, 역경후성장을 측정하였고, 역경경험 질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22.0와 PROCE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관성이 높을수록 감사가 높았고, 감사가 높을수록 역경후성장이 높았으며, 낙관성과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감사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낙관성과 감사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이 감사를 촉진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낙관성이 높을 때보다 낙관성이 낮을 때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에 따른 감사의 차이가 더 많이 났기 때문에, 낙관성이 낮은 경우에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이 감사를 더욱 높여주는 촉진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앞에서 확인된 매개모형과 조절모형을 결합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 낙관성과 역경후성장 간의 관계에서 감사의 매개효과를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감사의 매개역할이 확인됨으로써 낙관성과 역경후성장의 관계가 보다 명확해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낙관성과 감사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의 조절역할이 확인됨으로써 타고난 성향에 가까운 낙관성이 낮은 경우에 감사를 촉진할 수 있는 기제를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낙관성과 역경후성장의 관계에서 나타난 감사의 매개효과가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됨으로써 역경후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기제와 그 경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내담자의 감사성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부분과 내담자가 역경을 통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았다는데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through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411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battery of measures including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Gratitude Questionnaire, Trait Meta-Mood Scal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and PROCESS. Models were tested in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 seque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mediating effect, higher optimism was associated with higher gratitude and higher gratitude was associated with higher posttraumatic growth.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moder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gratitude was found significant. Analyzing the moderation model further, the lower optimism, the more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facilitated gratitude. Finally, as a result of testing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significant.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pec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by confirming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this study found mechanism to facilitate gratitude in case of optimism being low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gratitude. Third, this study found mechanism to facilitate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pathway by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perspective ta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is study found mechanism to facilitate gratitude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lients in counseling.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10
1. 낙관성 10
가. 낙관성의 개념 10
나. 낙관성의 효과 13
2. 감사 16
가. 감사의 개념 16
나. 감사의 효과 19
3. 역경후성장 21
가. 역경후성장의 개념 21
나. 역경후성장 과정 23
다. 역경후성장의 관련 변인 27
4. 낙관성과 감사, 역경후성장의 관계 28
5.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 31
가. 정서인식명확성 31
나. 조망수용 33
다. 상담에서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 35
라. 조절변인으로서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조망수용 36

Ⅲ. 연구방법 39
1. 연구모형 39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40
3. 측정도구 41
가. 낙관성 41
나. 감사 42
다. 정서인식명확성 42
라. 조망수용 43
마. 역경경험 질문지 44
바. 역경후성장 44
4. 분석방법 45
가.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6
나. 조절된 매개효과 기본 가정 확인 46
다. 매개효과 검증 47
라. 조절효과 검증 47
마.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48

Ⅳ. 연구결과 50
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50
2. 조절된 매개효과 기본 가정 확인 52
3. 매개효과 검증 54
4. 조절효과 검증 57
가.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효과 검증 57
나. 조망수용의 조절효과 검증 60
5.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63
가. 정서인식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63
나. 조망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65

Ⅴ. 논의 및 결론 69
1. 요약 및 논의 69
2.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8
Abstract 99
부 록 10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