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행복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아버지와의 개방형 혹은 폐쇄형 의사소통이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의사소통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와 H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161명과 여학생 172명으로, 총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아동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rent 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 PACI),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혜영 외(2009)가 개발한 한국 아동의 행복감 척도,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 ER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각 변인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Cronbach’s Alpha를 검토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개방형 의사소통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의 관계를 보였으며, 개방형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도 정적 상관의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형 의사소통과 행복감은 부적 상관의 관계를 보였으며, 문제형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도 부적 상관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개방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은 행복감에 직접적인 형향을 미치지만, 자아탄력성을 통해서도 행복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의사소통이 행복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의사소통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 최하위권인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자아탄력성 향상 및 부-자녀간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교사, 상담자의 적극적인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대상이 일부 지역과 연령에 한정되어 있고, 의사소통이 아동의 관점에서만 측정되었다는 제한점을 가지므로 연구 대상과 지역을 다양화하고, 아동과 아버지의 관점에서 측정한 의사소통을 비교·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부-자녀간 의사소통 9
2. 자아탄력성 14
3. 행복감 17
4.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관계 22
5. 연구모형 28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과정 30
3. 연구도구 31
4. 자료분석 37

Ⅵ. 연구결과 39
1.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측정 변수들의 차이 39
2.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상관관계 41
3.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행복감,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43
4. 초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45

Ⅴ. 논의 및 결론 50
1. 요약 및 논의 50
2.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8
부록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