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능분석 및 재할당 방법을 통한 K계열전차 수직감지기 단종문제 해결 연구

A Study on Solving the DMSMS(Diminishing Manufacturing Sources and Material Shortage) Problem of VSU(Vertical Sensing Unit) for K-Series MBT using the Function Analysis and Re-allocation Approach

초록/요약

최근의 무기체계는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고도로 정밀화되고 복잡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최첨단 무기체계에 있어서 필수적인 핵심기술부품의 급진적인 발전에 따라 무기체계의 개발, 양산 및 운영유지 간 부품 단종으로 인한 무기체계의 가용도 및 우리군의 전투준비태세 유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무기체계는 군수사업이라는 특성상, 소요제기부터 전력화 및 운영유지 단계까지 장기간의 생명주기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에 반해 급격한 기술발전 속도와 시장원리에 의해 무기체계 부품 단종이 발생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무기체계 부품 단종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의 단종 부품에 대해 시스템공학적 접근방법으로 기능을 분석하여 동일 무기체계 내의 다른 부품(하드웨어)과 소프트웨어로 그 기능을 재할당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능 분석/분해 및 재할당 방법을 K계열전차의 핵심부품 단종에 대해 실제 적용하고 실험적으로 입증한다. 현대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군수시장 및 무기체계 특성을 고려했을 때, 무기체계 생명주기에 있어서 부품단종은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밖에 없다. 부품단종은 무기체계 운용유지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단종에 대응하는 노력들로 인해 추가적으로 많은 인력이나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무기체계에서는 부품단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핵심부품에 대한 시스템공학 기반의 요구기능 분석과 그 요구기능을 재할당하여 소프트웨어/하드웨어로 대체하는 방법을 검토하여야 한다. 추후 무기체계 운용 시 그 특수성을 고려하여, 모든 무기체계에서 단종이 예상되는 핵심부품에 대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일반화하고 정형화하여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4
제4절 논문의 구성 5

제2장 무기체계 부품단종에 대한 일반 고찰 6
제1절 부품단종 정의 및 원인 6
제1항 부품단종 정의 6
제2항 부품단종 원인 7
제3항 기술의 발달에 따른 부품 생명주기의 단축 8
제2절 부품 단종으로 인한 문제점 9
제1항 총 소요비용의 증가 9
제2항 장비의 신뢰성 확보 곤란 10
제3항 전투태세 유지 곤란 11
제3절 부품단종 관리 방법 11
제1항 부품단종 사후(Reactive) 관리 11
제2항 부품단종 사전(Proactive) 관리 14

제3장 부품단종 문제해결을 위한 기능 분석 및 재할당 방법 17
제1절 K계열전차 단종부품인 수직감지기(VSU) 17
제1항 K계열전차 수직감지기(VSU) 17
제2항 K계열전차에서의 수직감지기(VSU) 기능 18
제2절 수직감지기(VSU) 기능 분석 20
제1항 VSU 기능 분석 22
제2항 VSU 기능 분해 27
제3절 VSU 기능에 대한 기능 재할당 29
제1항 VSU 제거를 위한 기능 분석 29
제2항 K계열전자에서의 기능 재할당 36
제4절 관성항법장치를 이용한 전차포 자세계산 방법 42
제1항 전차포 자세 계산 방법 42
제2항 전차포 자세 계산 알고리즘 개발 42

제4장 재할당 기능 검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구현 47
제1절 소프트웨어 구현을 위한 모델 기반 개발(MBD) 기술 47
제2절 코드 자동 생성 기능 개발 48
제1항 모델 기반 코드 자동 생성 기능의 필요성 및 목적 48
제2항 코드 자동 생성 도구 개발 49
제3항 시스템 모델링 53
제3절 내장형 소프트웨어 모델 검증 70
제1항 시스템 모델링의 검증 70
제2항 자동 생성 코드 77
제4절 자동 생성 코드 검증 79
제1항 자동 생성 코드 정적 분석 결과 79
제2항 자동 생성 코드 단위 시험 결과 93

제5장 실험 결과 99
제1절 명중률 시뮬레이션 분석 99
제2절 탄도해 비교 107
제3절 INS 비정렬 오차 보정 110
제4절 K계열전차 시험 결과 113

제6장 결 론 115
제1절 본 논문의 요약 115
제2절 본 논문의 한계성 및 향후 과제 116

참 고 문 헌 117

Abstract 12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