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과 중요도 인식 및 수행 간의 관계

초록/요약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 의식수준의 저하, 사지마비, 인공호흡기 사용, 약물 사용, 기동력이 저하 등으로 욕창 발생률이 높으므로 욕창간호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중요도 인식, 수행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욕창관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167명의 간호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권은숙(2005)의 욕창간호 지식 측정도구 20문항, 중요도 인식 19문항, 수행 1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정답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은 20점 만점에 14.85점, 정답률은 74.3%였다. 하위영역별 지식 점수는 욕창 발생요인 지식이 5.06±1.13점/7점(72.3%), 욕창 상태사정 지식이 3.17±0.76점/4점(79.2%), 욕창 치유방법 지식이 6.62±1.42점/9점(73.6%)이었다. 2.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평균 4.36점(5점 만점)이었다. 3. 욕창간호에 대한 수행은 평균 2.64점(3점 만점)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은 중환자실 근무경력이 4년 이상인 경우(t=-2.23, p=.027), 욕창관리 교육을 받은 대상자가 지식이 유의하게 높았고(t=2.91, p=.004),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욕창교육의 참가의도(t=2.78, p=.006)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수행은 근무부서(t=4.85,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중요도 인식 및 수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수행(r=.365, p<.001)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을수록 수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환자실 간호사의 욕창간호의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론적 교육뿐만 아니라 임상에서 환자의 욕창간호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는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에서 욕창관리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실습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e

목차

차 례

국문요약 ⅰ
차 례 ⅲ
표 차례 ⅴ
부록 차례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필요성 1
제2절 연구 목적 3
제3절 용어 정의 3


제2장. 문헌고찰 6
제1절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6
제2절 간호사의 욕창간호 지식, 중요도 인식 및 수행 8


제3장. 연구방법 12
제1절 연구설계 12
제2절 연구대상 12
제3절 연구도구 13
제4절 자료수집 14
제5절 윤리적고려 15
제6절 자료분석 15


제4장. 연구결과 17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제2절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19
제3절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 22
제4절 욕창간호에 대한 수행 24
제5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욕창간호 지식, 중요도 인식 및 수행 26
제6절 욕창간호에 대한 지식, 중요도 인식 및 수행 간의 관계 30


제5장. 논의 32


제6장. 결론 및 제언 38
제1절 결론 38
제2절 제언 39


참고문헌 40
부 록 46
ABSTRACT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