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자기통제력, 학교적응과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고, 스마트 폰 중독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자기통제력, 학교적응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교적응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넷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 부모-자녀 간 문제적 의사소통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 중·소도시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621명의 설문을 통계분석 하였다. 측정도구로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청소년 스마트 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S-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통제력을 측정하기 위해 Gottfredson & Hirschi(1990)의 자기통제력 척도와 김현숙(1998)의 자기통제력 평정 척도를 참고하여 이계원(2001)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Barnes & Olso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척도 검사인 PACI를 민하영(1991)이 번안한 청소년 자녀용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학교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규미(2005)의 ‘중학생 학교 적응 질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 자기통제력, 학교적응의 관계와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교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변인 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직접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검증(Sobel, 1982)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이 높은 청소년은 학교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에 잘 적응하는 청소년의 경우 자기통제력이 높았다. 둘째,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이 높고, 부모-자녀 간 문제적 의사소통을 할 경우 학교적응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을 잘 하는 청소년은 부모와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부모-자녀 간 개방적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간 문제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유의미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 폰 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학교적응, 자기통제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간의 관계와 경로를 확인하였다.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마트 폰 중독 경향성은 자기통제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통해서도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스마트 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을 통한 개입과 긍정적인 의사소통 방법은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모와 교사는 청소년이 올바르게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0
1.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 10
2. 학교적응 15
3. 자기통제력 17
4.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19
5. 선행연구 고찰 23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측정도구 32
3. 연구절차 36
4. 분석방법 37


Ⅳ. 연구결과 38
1.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38
2.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 간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39
3.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 간의 부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42
4. 스마트 폰 중독경향성과 학교적응 간의 부모-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의 매개 효과 44

Ⅴ. 논의 및 결론 47
1. 요약 및 논의 47
2.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5
부록 6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