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근로환경조사를 통한 고용형태와 산재발생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employment and Industrial Accident Occurrence through "Labor Environment Survey"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국내 근로자의 고용형태로 분류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와 산재가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1년 안전보건공단 연구소에서 전국의 만 15세 이상 취업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제 3차 근로환경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는 총 50,032명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 중 임금근로자 29,711명(59.4%)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분류하여 분석 하였다. 응답자중 자영업자 20,321명을 제외한 자신이 정해진 근로계약기간이 없다고 답한 정규직인 인원은 22,074명(74.3%) 이고 자신이 계약기간이 명시된 비정규직이라 답한 인원은 7,637명(15.3%)을 대상으로 분류하여 면밀히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서 확연하게 환경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구분해서 환경위험요인 노출빈도 분석 결과 가장 큰 폭으로 차이나는 저온 같은 항목의 경우는 7.1%, 가장 적게 차이나는 항목으로는 화학제품 접촉 1.3%까지 더 많은 비율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환경적위험요인에 노출 되어있고, 산재를 겪어 휴업한 경험을 겪은 것도 비정규직군이 비율적으로 더 높았다.

more

목차

<제목 차례>

I. 서론 1

II. 연구방법 3
1. 연구 설계 3
2. 연구 대상 3
3. 변수의 측정 및 측정도구 4
1) 임금근로자 4
2) 정규직과 비정규직 4
4. 자료 분석 방법 5

III. 연구결과 9
1. 근로자의 업무상 환경적 위험 요인 노출 9
2. 근로자의 업무의 위험성 14
3. 업무로 인한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 영향 정도 19
4. 업무로 인한 근로자의 산재 발생 21

IV. 결론 및 고찰 23
1. 결론 23
2. 고찰 24

<표 차례>

정규직 근로자의 일반적인 특성 7
비정규직 근로자의 일반적인 특성 7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의 업무상 환경적 위험 요인 노출 비교 11
근로자 고용형태와 환경적 위험 요인 노출 상관성 12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의 업무상 개인보호구 착용 필요 여부 비교 및 상관성 14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의 개인보호구를 필요할 때 착용하는지 여부 비교 및 상관성 15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의 건강•안전에 관한 위험요인 정보제공 비교 및 상관성 16
근무자가 업무 중 실수하게 되면 발생하는 상황 18
근로자가 자신의 일이 건강이나 안전에 위험하다 느끼는지 여부 및 상관성 19
근로자가 자신의 일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및 상관성 20
2010년 1월 이후 업무와 관련된 사고로 결근한 적이 있는지 여부 21

<그림 차례>

고용형태에 따른 구분 6
정규직군과 비정규직군의 업무상 환경적 위험 요인 노출 비교 10
2010년 1월 이후 업무와 관련된 사고로 결근한 적이 있는지 여부 19

참고문헌 23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