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SNS 이용동기가 학교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NS Using Motivation on the School Adjustment Behavior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 이용 동기가 학교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때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인터넷의 발달과 스마트 폰의 보급이 급증하면서 SNS의 이용이 대중화 되었다. 청소년 스마트 폰 사용자의 약 80%가 SNS 계정을 갖고 있고, 이중 45% 이상이 하루 한 번 이상 SNS에 접속한다고 2014년도 여성가족부의 조사 결과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과도한 사용은 스마트 폰 중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대인관계에 불만족을 유발하고 오프라인상의 인간관계를 단절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SNS 사용 중독은 습관과 단순 흥미 위주의 사용이 주된 원인이며 실제 대인관계에서 낮아진 자아존중감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더욱 SNS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중독 정도가 악화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러나 SNS의 사용은 분명 긍정적은 결과와도 관련이 있다. SNS를 통해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타인과 공유하는 경험은 유대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높이고 있었다. 이를 통해서 SNS의 여러 이용 동기는 학교생활을 하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고, 이때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게 되었다. 가설 검증을 위해 수도권의 중학교 두 곳의 학생들을 203명을 대상으로 SNS의 이용 동기와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 등을 자기문답식 설문으로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189명(93.1%)의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때 통제변수인 인구 통계적 변수(학년, 성별)는 변수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의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는 학업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이용의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는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부분매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이용의 정보추구 동기는 학업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이용의 정보추구 동기는 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완전매개)가 있었다. 다섯째, SNS 이용의 오락 동기는 학업적 적응에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SNS 이용의 오락 동기는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 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검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SNS 이용 동기에 따라 학교 적응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둘째, 청소년의 SNS 사용을 단순히 금지 또는 통제하는 것이 아닌 긍정적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거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more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문제 4

제2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청소년과 SNS 5
1. SNS의 정의 및 특성 5
2. 청소년의 SNS 이용 9

제2절 SNS 이용 동기 10
1. 사회적 상호작용 12
2. 정보추구 13
3. 오 락 14

제3절 학교적응 행동 15
1. 학교적응 행동의 개념 15
2. 청소년의 SNS 이용 동기와 학교적응 16

제4절 자기효능감 18
1. 자기효능감의 개념 18
2. 청소년기의 자기효능감 19
3. SNS 이용동기와 학교생활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21


제3장 연구 방법 23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정의 23
1. 연구모형 23
2. 연구가설 23

제2절 연구대상 및 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측정도구 25
3. 분석방법 27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및 해석 28
제1절 기초통계 분석 28
1. SNS 이용현황 28
2.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31

제2절 가설의 검증 33
1. <연구문제 Ⅰ>: SNS 이용의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3
2. <연구문제 Ⅱ>: SNS 이용의 정보추구 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7
3. <연구문제 Ⅲ>: SNS 이용의 오락 동기와 학교생활 적응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0
4. 가설의 검증 결과 43


제5장 결 론 44
제1절 연구결과 요약 44
제2절 논의 및 제언 46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47

<참 고 문 헌> 48
<설 문 지> 5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