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정서능력과 대인관계 역량 사이의 구조적 관계: 비공식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Leadership education participant’s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mediator effect of unofficial networks as the central point.

초록/요약

본 연구는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 대인관계 역량간의 이론적 관계에 기초한 구조모형의 타당성과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 대인관계 역량에 미치는 경로에 따른 영향력을 구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3개 교육기관의 리더십 교육 참여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예비조사, 1차 본조사, 2차 본조사 3회에 걸쳐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과 설정한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23.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대인관계 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매개로 대인관계 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구조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인관계 역량 향상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긍정적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은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매개로 대인관계 역량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의사소통 능력이 정서능력보다 대인관계 역량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매개로 한 간접적 영향력에 의하여 정서능력의 간접적 영향력이 더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적 구조모형이 경험적 자료에 의거하여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나 리더십 교육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 대인관계 역량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인관계 역량 향상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으며, 리더십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모두가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는 점이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능력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실제 발현되는 비공식적 네트워크에 의해 대인관계 역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새롭게 확인되었다는 점은 커다란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 결과 및 의의는 리더십 교육 참여자들의 대인관계 역량 강화를 위하여 평생교육과 HRD 관점에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적 구명 결과는 리더십 교육에 있어 대인관계 역량의 증진을 위해 교육 참여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 요인을 심도 있게 고려한 프로그램 기획, 개발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리더십 교육 참여자들의 대인관계 역량 증진을 위한 비공식 네트워크의 매개 효과가 중요한 것으로 밝혀진 바, 이를 고려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중요함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행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들은 참여자의 외적 행동 변화를 촉발하는 대인관계 능력 개발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고 있는 변인들의 중요성과 영향력, 매개력 등을 고려하여 향후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과 HRD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정서적 능력을 고려하고 이들의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1. 대인관계 역량의 의미 9
2. 평생교육 관점에서의 대인관계 역량 23
3. 대인관계 역량 설명 모형 및 변인들 27
Ⅲ. 연구방법 42
1. 연구절차 42
2. 연구대상 43
3. 조사도구 선정 및 검증 45
4. 연구모형의 설정 60
5. 자료 분석 방법 62
Ⅳ. 연구결과 63
1. 의사소통 능력, 정서능력, 비공식적 네트워크, 대인관계역량 인식분석 63
2. 대인관계 역량과 관련 변인의 구조모형 타당도 분석 71
3. 대인관계 역량과 관련 변인의 영향력 분석 78
Ⅴ. 논의 및 결론 83
1. 논의 83
2. 결론 92
참고문헌 95
부록 11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