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물인터넷 응용을 위한 적응형 자원관리 모델

An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Model for Application of Internet of Things

초록/요약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분산시스템 기술을 이용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 및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유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물인터넷의 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컴포넌트 간의 직접적인 연결 방식으로 동적 환경에서 변경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역할기반모델을 이용하고자 하며 이는 컴포넌트의 개념을 역할과 행위자로 구분하고 있다. 역할은 서비스의 프로세스를 의미하며 행위자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역할기반모델의 특징으로 인해 전체 구조가 비결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높은 적응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플랫폼과 역할기반모델을 바로 적용하기 어려움이 있어 적응형 자원관리를 제안한다. 적응형 자원관리는 사물인터넷의 디바이스를 자원이라고 판단하며, 디바이스는 센서 작동기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한다. 적응형 자원관리란 자원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자원 간의 관계 파악이 가능하다면 디바이스 교체를 좀 더 정확하게 동적으로 변경이 쉬울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등록된 디바이스의 정보는 역할기반모델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적응형 자원관리 모델은 필요한 정보만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적응형 자원관리는 역할기반모델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황에 맞는 디바이스를 교체를 제공하며, 해당 서비스가 높은 적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more

초록/요약

Recently, there are many changes for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life and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goods with distributed system in the various field.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wired or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people can use a service anytime, anywhere with the internet of things. But the demand for improving the adaptability of the internet of things increases, so a variety of research has been proceeding. The Internet of things platform has a limitation of alteration in a dynamic environment it's because of the direct link method. In this research, I propose to using a role-based model to solve this limitation. It classified the concept of the component to role and player. The role means a process of service and the player means an operation that performs a role. The characteristic of the role-based model, all structure were non-deterministic. It has also high adaptability to dynamically manage in various environment. But I propose to using an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instead of the internet of things platform and role-based model, which hard to apply at a service right way. The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recognizes a device of the internet of things as a resource. A device all includes sensor actuate equipment. The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is a service that helps to check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If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urces, then it can exactly change the device in dynamic. The device information that resisted at IoT platform but on the side of the role-based model that includes unnecessary information. So, in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model integrate only necessary information. The adaptive resource management includes the feature of the role-based model. It helps user can change the devices in accordance with a situation and the service can have high adaptability.

more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배경 지식
제1절 역할기반모델
제2절 모비우스 플랫폼
제3절 온톨로지
제3장 사물인터넷기반 적응형 분산시스템
제4장 적응형 자원관리 모델
제1절 적응형 자원관리 정의 및 목표
제1항 자원의 정의
제2항 적응형 자원관리 정의
제3항 적응형 자원관리의 필요성 및 목표
제2절 적응형 자원관리 모델
제1항 요구사항 관리자
제2항 관계 관리자
제3항 적응형 자원관리 설계
제5장 적응형 자원관리 적용
제1절 적응형 자원관리 시나리오
제1항 환경요소 시나리오
제2항 적응형 향상 시나리오
제2절 적응형 자원관리 적용
제3절 자원관리 기능 비교
제6장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