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실천공동체로 성장한 학습동아리 사례연구 : 수원YMCA 생명밥상교육 학습동아리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학습동아리가 개인, 집단,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실천공동체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인지하고, 학습동아리가 실천공동체로 성장하는 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동아리가 시작할 당시의 맥락과 참여 동기를 분석하고 실천공동체로 성장하는 과정에 나타는 학습 경험의 특성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사례연구기법을 채택하여 ‘수원 YMCA 생명밥상교육’ 학습동아리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습동아리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학습자와 수원 YMCA 담당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원 YMCA 시민단체는 시민들이 구성하는 조직을 형성하고자 먹거리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총 19회의 학습모임을 진행하였다. 이후 깊이 있고 끊임없는 학습이 이뤄져야 함을 느낀 참여자들이 ‘생명밥상교육’ 학습동아리를 자발적으로 조직하였다. 학습동아리 활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특징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학습동아리의 뚜렷한 목적을 통한 학습과 실천, 공유로 참여자들의 신뢰관계 형성이다. 둘째는 참여자들 삶의 긍정적 변화이다. 셋째는 수원 YMCA의 학습 공간 및 학습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다. 본 연구에서 실천공동체로 성장한 학습동아리의 학습과정에서 독특한 특성이 발견되었다. 학습주제인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커리큘럼이나 제도화 된 교과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참여자들 스스로 도서를 선정하고 학습하여 토론을 하며 학습과정을 이어나갔다. 참여자들은 학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각자의 삶에서 자연스럽게 실천으로 이어갔다. 이러한 실천 경험은 참여자들과 함께 공유함으로 학습 효과를 증진시켰다. 참여자들은 안전한 먹거리가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옴을 체험하고, 먹거리가 건강뿐만 아니라 환경과 유기체적인 관계에 있음을 통해 이웃들에게 안전한 먹거리의 중요성을 알려야 함을 깨닫고 생명밥상을 알려야 함을 자각하였다. 이후 수원 YMCA 담당간사의 도움을 통해 먹거리 어린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고, 어린이 교육을 통해 각 가정에서 생명밥상 운동이 연계될 수 없다는 한계를 깨닫고 부모교육 및 캠페인 활동, 이웃 초청 토크콘서트 등 다양한 형태의 실천 활동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수원 YMCA 생명밥상교육 사례를 통해 실천공동체로 성장한 학습동아리의 학습 과정은 특성은 먼저, 학습 주제이었다. 주부들의 먹거리에 대한 관심으로 학습을 시작하였고, 습득된 지식은 각 가정에서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또한 실천공동체의 뚜렷한 목표의식이었다. 신체‧정신적, 사회‧문화적, 환경, 생명과 연관 있는 먹거리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참여자들이 생명밥상 운동을 이웃들과 함께 실천해야한다는 목표의식으로 학습동아리를 이끌어가고 있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습동아리 5
가. 지역사회에서 학습동아리의 의미 5
나.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학습동아리 7
다. 학습동아리 발달단계 및 활성화 요인 11
2. 실천공동체 14
가. 실천공동체의 개념 및 구성요소 14
나. 실천공동체의 성장과정 16
다. 실천공동체로의 학습동아리 17

Ⅲ. 연구 방법 21
1. 본 연구 방법으로서의 사례연구 21
2. 연구사례와 참여자 22
가. 연구 사례 22
나. 연구 참여자 24
3. 연구절차 26
4. 연구의 윤리와 신뢰성 27
Ⅳ. ‘생명밥상교육’의 시작: 먹거리에 관심 있는 주부모임 29
1. 학습동아리 ‘생명밥상교육’의 출발 29
가. 먹거리에 관심 있는 주부들 29
나. 먹거리 학습에 대한 열망 32
2. 학습동아리 ‘생명밥상교육’의 확산 36
가. 내가 먹는 것이 바로 나 36
나. 자연과 순환적인 먹거리 38

Ⅴ. 실천공동체 ‘생명밥상교육’ 성장과정에 나타난 학습경험 40
1. 실천공동체로의 발돋움 40
2. 실천공동체로의 공진화 43
가. 건강한 먹거리 교육 45
나. 교실을 넘어선 생명밥상 운동 48
다. 실천 활동을 통한 또 다른 공부 51

Ⅵ. 결론 55
1. 요약 55
2. 논의 및 결론 59

참고문헌 62
부록 7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