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학습 문화 기술지 연구

초록/요약

본 연구는 안산 땟골 마을에서의 고려인들의 학습 문화를 배움이 가지는 중요성과 역할에 대한 공감을 이주민과 지역주민간의 교감을 통해 다양한 공동체 활동과 배움의 변화와 성장으로 기술하였다. 고려인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민족 정서로 공동체성을 유지하며 이주민으로서 묵묵히 살아가고 있다. 이주의 배경은 저마다 다를 수 있으나 고려인들은 150년 전 러시아로 이주하여 지난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이방인으로 힘든 삶을 살며 이제는 다시 한국에서 또 다른 이주민으로서 살고 있다. 한국이 외국인 노동자를 경제성장에 필요한 노동력으로서 도입하여 경기침체로 인해 자국민의 고용시장을 침범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지역에서는 심리적인 갈등관계도 생겨나고 있다. 안산지역은 전국에서 최초로 외국인 주민센터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을 정도로 외국인과 다문화 관련하여 빠르게 의제들이 공론화된 지역이다. 이러한 안산시의 선도적이고 다양한 이주민과 다문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내 체류 고려인들은 또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주집단이다. 고려인은 다문화도 외국인도 아닌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 혼란을 겪고 있으며 같은 듯 다른 모습과 문화, 그리고 언어소통의 문제로 인한 정착의 어려움 등 이중적 고통의 삶을 살고 있다. 안산 땟골 마을에서의 이주 고려인들도 다른 이주민들처럼 지역주민과의 언어소통, 문화 차이, 다른 생활 습관 등의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다. 하지만 여느 외국인들과는 다른 고려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그들의 정체성 및 문화적 특성이 학습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성장하는지 그들만의 문화를 통해서 살펴 보고자 한다. 사전 연구와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요건을 적용하여 연구문제로 살펴 보고자 하였다. 첫째, 안산-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문화적 양상에 대해서이다. 둘째, 땟골마을 고려인들은 어떠한 학습 경험을 통하여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며 변화와 성장을 하는가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이에 본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살펴본 결과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문화적 양상과 학습은 다음과 같다. 고려인들은 이미 150년 전부터 그들 스스로 ‘카레이스키’, ‘고려사람’으로 구별되어 불리워지길 원했으며 이는 한민족으로서의 강한 자부심과 공동체성에 대한 표현으로 볼 수 있었다. 단순히 ‘카레이스키’라는 이름으로만 불리워진 것이 아니라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방인으로서 삶의 끌을 모른 채 살면서도 정체성을 잃지 않고 우리 민족적인 고유의 문화를 그들만의 방식으로 보존하며 유지하였다. 문화적으로는 한민족의 유교문화와 러시아의 슬라브문화,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문화가 혼재하여 구 소련시절 사회주의와 소련 와해 이후 자본주의적 성향도 혼재하고 있다. 우리와 같은 듯 다른 모습으로 낯선 이주민의 모습은 세입자에서 동등한 주민으로, 배움을 통해 차이를 극복하고 ‘나’에서 ‘우리’라는 공동체로 만날 수 있었다. 땟골 마을 고려인들은 생존과 생활 속의 ‘자투리 학습’에서 이주민에서 주민이 되기 위한 ‘스며들기 학습’ 더 나아가 지역을 넘어 사회와 함께 연대하는 ‘너머 학습’으로까지 끊임 없는 배움의 욕구를 강한 공동체성으로 표출하고 있었다. 이는 고려인들이 지난한 이주역사 속에서도 변화와 맞서 싸우기 보다 그들만의 문화와 공동체성을 읿지 않고 배움에 대한 성장을 스스로 경험하며 점진적으로 노력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안산 땟골 마을 고려인들의 문화를 학습공동체 안에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고려인들의 이주 문화와 학습 공동체성에 대해 보고자 하였다. 고려인 이주 마을의 독특한 정체성과 문화가 학습을 통한 변화와 성장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보고자 했다. 다른 고려인 이주 마을을 포함해서 또 다른 이주 집단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하고 학습을 통해 배움의 성장과 경험이 공동체 속에서 갖는 의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배움은 개인이 지역사회의 시민으로서 한 단계 성숙해 지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고 다양한 지역사회 속에서 끊임없는 배움의 공진화가 일어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1. 이주민과 이주 문화 9
가. 이주민들의 정체성 9
나. 고려인 이주 마을의 문화적 특성 13
2. 공동체와 학습 13
가. 학습공동체 의의 14
나. 공동학습과 전환학습 17
Ⅲ. 연구방법 25
1. 문화기술지 25
2.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27
3. 자료수집 방법 31
가. 참여관찰 32
나. 심층면담 35
4. 자료의 분석과정 36
5. 연구 윤리와 진실성 36
Ⅳ. 고려인 이주 ‘안산 땟골 마을’ 사람들과 그들의 문화 37
1. ‘카레이스키’라 불리우는 사람들과 그들의 문화 37
2. 같은 듯 다른 모습들 41
3. 이주민에서 땟골 마을 주민으로 54
Ⅴ. 고려인 이주마을에서 보여지는 배움들 55
1.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공감과 교감 학습’ 55
2. 생존과 생활 속의 ‘자투리 학습’ 59
3. 한 걸음 더 ‘스며들기 학습’ 63
4. 지역을 넘어 사회와 연대하는 ‘너머 학습’ 67
Ⅵ. 논의 및 결론 71
1. 논의 71
2. 결론 71
참고문헌 74
부록 8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