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사실천공동체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 사례연구: 교사선교회(TEM)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Expansiv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Teacher’ Community of Practice: Focusing on the Teachers Evangelical Mission(TEM)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사실천공동체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확장학습의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교사실천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공동체 내에서 활동체계를 확장시켜 사회적 참여까지 나아간 확장학습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탐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교사선교회(Teachers Evangelical Mission, 이하 교사선교회로 표기)’사례를 통하여 실천공동체로서의 성장과정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선교회 사례를 통해 본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측면에서 독특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은‘관계 맺기’경험을 통하여 양육 모임 안에서 학습 주체로 깨어나고 있었으며, 분화된 다양한 활동의 참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있었다. ‘관계 맺기’경험은 순수한 한국적 정(情)과 기독교 신앙을 공감영역으로 하여 개인과 공동체가 본질적인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로, 교사선교회의 리더들은 새로운 지역과 영역에서 양육 모임을 실천하였고, 그 경험을 공동체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다른 구성원들은 그 경험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확대 재생산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함께 배우기’경험은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이 공동체의 유지와 성장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나타났으며, 가치 지향적이고, 수평적 참여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활동체계를 뛰어 넘어 교육마을이라는 새로운 활동체계를 만들었다. 이는 공동체 내부의 문제 해결과 사회적 필요의 접점을 찾는‘경계 넘기’경험이었으며, 공동체의 가치를 외부 세계로 확장하려는 시도였다.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 학습 경험은 확장학습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관계 맺기’경험은 자기다움을 찾아가는 과정이었다. 구성원들은 기독교 신앙, 직업, 일상적 삶을 하나로 통합시키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학습 주체로 성장하였으며, 타인과 연결되었다. 이는 개별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둘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함께 배우기’경험은 문제해결에 있어 수평적 참여를 특징으로 하였다. 이는 수평적 참여를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지향함으로써 신뢰 관계와 역량을 강화시키는 공동체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셋째로,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사회적 참여 과정이었다. ‘좋은 교사’운동과의 연대, 교육마을 만들기 등은 사회의 변화를 일으키는 학습 역동으로써 사회적 측면의 확장을 의미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모험을 감수하는 일련의 확장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관계 맺기’경험과‘함께 배우기’경험은 실천공동체 내부에 구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반면‘경계 넘기’경험은 공동체의 외부를 향한 원심적 학습 역동을 제공하였다. 교사선교회의 학습 경험은 원심적 학습 역동과 구심적 학습 역동이 균형을 이룰 때 활동체계의 확장적 전환을 이루고 있었다. 주제어 : 실천공동체, 교사실천공동체, 확장학습, 관계 맺기, 함께 배우기, 경계 넘기, 매듭 엮기(knotworking), 자기 생성적 참여구조, 학습 역동, 공동 주체화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Ⅱ. 이론적 배경 7
1. 실천공동체 7
가. 학습공동체로서의 실천공동체 7
나. 실천공동체에서의 참여 11
다. 실천공동체의 성장과정 14
라. 교사실천공동체 20
2. 확장학습 26
가. 확장학습: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3세대 26
나. 확장학습에서의 학습주체 32
다. 확장학습의 과정과 특징 36

Ⅲ. 연구방법 45
1. 본 연구 방법으로서의 사례연구 45
2. 연구사례와 참여자 46
가. 연구사례 46
나. 연구 참여자 51
3. 연구절차 55
가. 자료 수집 55
나. 자료 분석 61
4. 연구 윤리와 진실성의 확보 64

Ⅳ. 교사선교회 사례를 통해 본 실천공동체 성장과정 66
1. 순수한 기독학생회로 출발 66
가. 순수한 기독학생회의 동문회 모임 66
나. 정체성에 대한 깊은 고민 74
다. ‘양육 모임’이 가져온 변화 76
2. 실천공동체로서 모습을 갖추어 가기 시작한 교사선교회 81
가. 담장 너머로 뻗어가는 가지 81
나.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이 함께 그린 미래 청사진 86
다. 끝없는 토론을 통한 협력 90
3. 교육마을을 만들어 확장하는 교사선교회 100
가. 학교를 품은 교육마을의 탄생 100
나. 교육과 삶이 어우러진 교육마을 108
다. 교육마을에서‘학습마을공동체’로의 준비 112

V. 교사선교회 구성원들의 확장학습 경험 118
1. 학습 주체로 자각과 연결과정 118
가. 순수한 한국적 정(情)의 관계 118
나. 친밀한 관계를 맺기 위한 리더의 수고 121
다. 교사라는 직업적 어려움의 공감과 극복 127
라. 팀체제를 통한 새로운 만남의 방식 134
2. 수평적 참여를 통한 공동 주체화 과정 138
가. 삶으로 보여주기와 그 변주곡 138
나. 문제는 숫자가 아니라 방향이야 144
다. 한 사람의 백보 보다 모두 함께 일보 전진 147
라. 열려 있는 중심 참여의 기회 151
3. 교사선교회의 사회적 참여과정 154
가. ‘좋은 교사’운동과의 연대 154
나. 한 편의 각본 없는 드라마, 교육마을 만들기 157
다. 공동체 너머 더 큰 공동체로의 연결 162

Ⅵ. 논의 및 결론 167
1. 논의 167
2. 결론 178

참고문헌 182
ABSTRACT 193
부록 19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