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안긴문장(절)'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 양상 및 형성 요인 연구 :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초록/요약

본 연구는 문법교육에서 다루는 개념 중의 하나인 안긴문장(절)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 양상 및 형성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개념 양상 조사를 위한 평가를 실시하고 각 문항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고 오답 선택 이유를 참고하여 이를 바탕으로 오개념을 유형화하였으며, 이 같은 오개념의 형성 요인을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결과를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학생들을 담당하고 있는 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안긴문장(절)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 양상을 살펴보면 첫째, 서술절, 부사절, 관형절, 명사절, 인용절 순으로 오개념이 많이 나타났고 안긴문장(절)의 개념에 대한 오개념도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에 대한 이해가 협소하여 형태 혹은 기능의 유사성으로 인한 오개념이 많이 나타났다. 셋째, 안긴문장(절)의 포함된 문장을 활용하여 쓰는 문항은 정답률이 높은 편이었는데 문법 개념에 대한 이해력이 높지 않아도 실제 언어생활에서는 안긴문장을 포함한 문장을 잘 활용하여 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오개념 형성 요인을 연구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 번째로 내용 지식 요인으로는 안긴문장(절)의 개념이 학습자들이 이해하기에 매우 높은 수준의 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 개념 자체가 학계에서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요소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 안긴문장과 안은문장은 문법 용어 자체로도 학생들이 혼란스러워할 여지가 충분이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로 교재 요인을 살펴보면 개념 기술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가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점, 교과서의 내용이 체계 없이 줄글로만 복잡하게 진술된 점, 개념 설명의 내용이 정확하지 않은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로 교사 요인으로는 교사의 개념 설명이 부족하거나 잘 되지 않은 경우, 또한 교사가 개념을 설명할 때 충분한 예시를 들지 않고 개념의 정의만을 설명하는 경우 학습자 오개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학습자 요인으로는 학습자의 선수학습 성취도가 낮은 경우, 학습자의 잘못된 문법 학습 태도 중 학습자가 문법을 대할 때 개념을 이해하려 하기보다 단순히 암기에 의존하여 학습하는 경우 혹은 언어 직관에 의존하여 문법 개념을 모국어 화자의 본능적 감으로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경우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외국어 학습 경험에 의존하여 개념을 이해하려 할 때, 영어 문법 개념과 안긴문장(절)에 나오는 개념들 사이에 혼동이 있는 경우가 있었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5
3. 선행연구 검토 ····························································7
4. 연구의 제한점 ··························································13

Ⅱ. 이론적 배경 ······················································15
1. 구성주의 학습 이론과 오개념 ·······································15
2. 국어교육에 있어서의 학습자 오개념 ································18
3. 학교문법에서의 안긴문장(절) 부분의 이론적 검토 ················22

Ⅲ. 연구의 설계 ·····················································27
1.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27
2. 검사도구 ·······························································30
2-1. 학생 대상 검사 도구 ············································30
가. 선수 학습 성취도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지의 구성 및 내용 ···30
나. 오개념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 및 설문지의 구성 및 내용 ······32
다. 오개념 요인 분석을 위한 학생 면담의 구성 및 내용 ············35
2-2. 오개념 요인 분석을 위한 교사 대상 검사 도구 ···················37


Ⅳ.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39
1. 결과 분석 ······························································39
1-1. 선수 학습 성취도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지의 결과 분석 ···39
1-2. 오개념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 결과 분석 ·····················53
2. 논의 ····································································74
2-1. 안긴문장(절)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의 양상 및 유형 ········74
2-2. 안긴문장(절)에 대한 학습자 오개념 형성의 원인 ············81
가. 내용 지식 요인 ····················································81
나. 교재 요인 ·························································87
다. 교사 요인 ·························································95
라. 학습자 요인 ······················································98

Ⅴ. 결론 ······························································105
1. 연구 결과 요약 ······················································105
2. 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 ········································110

참고문헌 ······························································113
<부록1> 선수 학습 성취도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지 ·············115
<부록2> 오개념 확인을 위한 학생 평가 및 설문지 ················116
<부록3> 오개념 요인 분석을 위한 교사 설문지 ····················11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