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의 관계

Relatio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school-related adjustment, learning flow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이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3곳의 고등학교 1, 2학년 남학생 211명, 여학생 142명 총 353명이며, 측정 도구는 학습몰입을 측정하기 위하여 Csilkszentmihalyi(1975)의 심리적·감정적 성향의 몰입의 개념을 기초로 박형근(2007)이 개발한 학습몰입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정은(1996)이 개발하여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사용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학교적응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개발한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고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이 서로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정도는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은 평균 3.03(SD=.430), 학교적응은 평균 3.18(SD=.545) 그리고 학습몰입은 2.68(SD=.596)이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r=.369, p<.001),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r=.484, p<.001), 학교적응과 학습몰입(r=.545, p<.001)의 뚜렷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분석 방법의 2단계에서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영향력(β=.484, t=10.351, p<.001)보다 3단계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의 영향력(β=.327, t=7.278, p<.001)이 더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교적응이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였고, 유의미한 매개 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등학생이 보다 높은 수준의 학습몰입을 하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주어진 환경에 전략적으로 잘 조직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적응을 잘하게 되고, 학교적응으로 심리적 안정을 갖는 학생은 학습몰입을 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 교사 그리고 상담자에게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학교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의미한 개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 교사나 또래 관계에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정서지능개발 프로그램, 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며, 학교에서 유의미한 학습경험과 환경적, 물리적 자원의 제공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학습몰입 9
2. 자기효능감 16
3. 학교적응 21
4. 선행 연구 분석 24
5. 연구 모형 30

Ⅲ. 연구방법 31
1. 연구 대상 31
2. 연구 도구 32
3. 연구 절차 36
4. 자료 분석 37

Ⅵ. 연구결과 39
1.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의 정도 39
2.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학교적응, 학습몰입의 상관관계 40
3.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 관계에서 학교적응의 매개 효과 41

Ⅴ. 논의 및 결론 54
1. 요약 및 논의 54
2.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1
부록 7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