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y, Stress-Coping and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168명, 여학생 180명, 성별무응답 1명으로 총 349명이며, 측정도구는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Block과 Kremen(1996)의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 ERC)를 바탕으로 박은희(1997)가 제작한 자아탄력성 검사를 최봉순(2010)이 생태학적 타당성을 높여 재구성한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신재선(2001)이 보완한 척도,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화(2005)가 제작한 초등학생용 행복감 측정 검사를 심우엽(2011)이 자구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 초등학생들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이 서로 상관이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각각의 하위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은 적극적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는 적극적 대처행동과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이 행복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격적 대처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며,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은 아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이고 사회지지 추구적인 대처행동을 할 경향이 많고, 행복감의 수준도 높은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아동은 공격적 대처행동을 할 경향이 많고, 행복감의 수준도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적극적이고 사회지지 추구적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색 및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의 관계와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아동이 보다 높은 수준의 행복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적극적이고 사회지지 추구적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사용하도록 아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부모와 교사, 상담자에게 아동을 도울 수 있는 개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1. 자아탄력성 7
2. 스트레스 대처행동 11
3. 행복감 18
4.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의 관계 20
5. 연구모형 25

III.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도구 27
3. 연구절차 33
4. 분석방법 33

IV. 연구결과 36
1.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스트레스 대처행동, 행복감의 상관관계 36
2.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39

V. 논의 및 결론 48
1. 요약 및 논의 48
2.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8
부 록 6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