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실천학습공동체 네트워크 사례연구

초록/요약

국문 초록 평생교육전공 오 현 주 본 연구는 실천학습공동체의 성장과정 속의 형성과정 및 그 속의 네트워크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질적 연구는 연구 현장의 상황을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연구자, 연구 참여자, 독자들을 연구 현장의 상황을 이해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내부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신들이 직면한 작은 도서관 운영의 어려움에 대한 해결을 위한 학습모임으로 시작하여 수년 간 지속적인 각 주체간의 교류와 상호 호혜성을 기반으로 독서문화 활동의 가치와 목적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활동과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실천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안의 실천학습공동체의 형성과정과 다양한 학습네트워크를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 속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과 가치를 이해하는 것에 노력이 요구되어 각종 분석자료를 수량화하고 이를 분석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양적연구방법보다 질적 연구방법이 합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평생교육전문가와 연구방법 전문가의 협조를 통해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를 대상으로 연구 수행 전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인터뷰와 참여관찰, 그간의 활동을 담은 자료집, 언론보도자료, SNS(활동모임 까페), 관(官)에서의 지원사업 신청서 등을 기반으로 한 문헌자료 분석 등을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의 연구 분석 틀인 상호작용적 특성, 구조적 특성, 기능적 특성을 실천학습공동체의 네트워크 분석틀로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천학습공동체의 네트워크와 형성과정에 큰 영향을 갖고 있는 주요 요인을 ‘사람’, ‘학습’, ‘실천’으로 볼 수 있었다. 첫째, 실천학습공동체의 핵심인물은 가치와 목적을 변화하지 않고 지속하는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수년 간 함께 해온 운영위원회, 임원인 독서문화 활동가인 핵심그룹도 이에 함께하였다. 둘째, 실천학습공동체의 지속적인 가치와 목적을 공유하고 그 속에서 이뤄지는 학습을 볼 수 있다. ‘독서’, ‘작은 도서관’을 매개로 하여 단순히 도서관을 운영만이 아닌 그 속에서 ‘독서문화 활동’에 대해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뜻을 나누고 이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독서문화 활동가’양성을 수년간 지속하고 각 대상별 도서를 공부하는 등 지속적인 학습을 지속하고, 독서를 단순히 대출과 책을 읽는 것이 아닌 ‘문화 활동’으로 확대하여 ‘놀이문화’를 개발 보급하였다. 이들은 상시적으로 내적 네트워크를 견고히 하였으며, 지속적인 학습을 공유하기 위해서 민(民)과 관(官)의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서 재원을 확보하고 사업을 확장시켜 나갔다. 그 결과 전문성을 함양하여 사업위탁, 운영매뉴얼 개발, 이동도서 책 꾸러미인 ‘영순이 책가방’도 개발 하였다. 셋째, 실천학습공동체의 핵심인 학습과 실천이다. 실천을 위해 학습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이에 지속적인 고민과 논의 그리고 소통을 통해서 학습을 확장하고 이를 학습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마을축제’운영 ‘영순이 책가방 ’대여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서 지역의 주민들과 공유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을 여기서 확장하여 최근에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에도 실천으로 뜻을 같이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간 연구되어온 실천공동체, 학습공동체 연구에서 제언에서 요구하였던 풍부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사례를 분석함으로서 실천학습공동체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수년간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동했던 연구자는 본 연구가 평생학습의 학습공동체의 형성과 지속에 있어서도 시사점이 있다 보았다. 그간 개인적인 학습의 관심은 학습모임을 결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이런 학습모임을 지속하고 이를 평생교육단체로 성장하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었음을 체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는 2005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변함없는 공동체 구성원간의 소통과 신뢰를 바탕으로 내적․외적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나아가 본연의 공동체의 목적을 좀더 확장하고자 ‘시민교육’으로 사업을 전개하고자 희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평생학습 현장의 실천활동에 있어 의미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인 실천학습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인문학적인 측면이 강한 실천학습공동체를 연구대상으로 보아 다양한 평생교육분야의 활동을 살펴보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따라 향후 실천학습공동체를 연구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분야의 활동에서도 이러한 네트워크의 특성이 나타나는지 살펴 볼 수 있는 후속 연구가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실천학습공동체, 네트워크, 작은 도서관, 독서문화, 독서문화 활동가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정리 4

II. 이론적 배경 5
1. 실천학습공동체 5
가. 실천공동체 이론과 개념 5
나. 실천공동체의 특성 7
다. 실천학습공동체 12
2. 실천학습공동체의 네트워크 15
가. 네트워크 개념과 특징 15
나. 네트워크 분석틀 18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3
1. 연구 대상과 참여자 23
2. 연구 절차 25
3. 연구 분석 방법· 28
Ⅳ. 실천학습공동체 네트워크 형성과정 32
1. 독서문화 싹 틔우기 32
가. 책과 사람을 사랑하는 이들의 만남 32
나. 나의 것을 나누고 함께하는 의미 있는 만남 35
다. 마을공동체 속 독서문화 새싹 37
2. 독서문화 활동은 민들레 홀씨 되어 42
가. 배움과 나눔으로 즐거운 사람들의 만남 42
나. 배우고, 만들고, 고민을 통해 성장하기 47
다. 민(民)과 관(官)의 하모니 52
3. 승승장구, 실천학습공동체의 활약 56
가. 너와 나, 우리가 함께 만드는 독서문화 56
나. 소통과 공감, 학습네트워크 61
다. 사람이 사람으로 행복한 세상만들기 66

Ⅵ. 논의 및 결론 73
참고문헌 77
부 록 8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