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 경험 연구

A Study on Transformativ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n "Feminism" through Life History

초록/요약

본 연구는 ‘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여성주의‘를 인식하게 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인식하게 되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인식전환 과정 및 변화를 탐색하였다. 여성주의 인식 형성 맥락,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 여성주의 인식전환을 통한 삶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여성학 전공자이며, 여성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30~40대 여성주의자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주의’ 인식전환 경험의 과정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주의 인식 형성의 맥락에서 여성들은 성불평등 사건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성별의 다름을 인식하게 된다. 가정과 학교에서 강요된 성역할, 빈곤으로 인한 차별, 성추행 등이 그녀들의 생애 결정적 사건이었다. 이것은 여성들의 초·중·고등학교 시절의 성별에 따른 교과목 분리, 성별화된 교복 착용, 교사의 성차별적인 편애와 특혜로 이들은 제도권 교육에서 성불평등 환경을 접하게 되었다. 또한 배움에 한이 있는 부모의 학습 열망이 자녀에게 전달되고 성별 구분없이 지원받아 똑똑하고 공부 잘하는 딸로 성장하였다. 아버지의 사회문제에 대한 인식이 자식에게 전이되고 사회의 부당함과 불공정함을 토론의 과정으로 학습하게 되었다. 삶의 맥락에서 여성들은 성불평등 사건을 인식하고, 이러한 환경을 접하게 되면서 성별에 대한 감수성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게 된다. 성별 불평등 환경에 대한 문제제기 그리고 고민의 과정은 현재 여성주의자로 활동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에서 여성들은 여성학 강의를 통해서 비로소 나의 경험을 설명해 주는 이론을 만나게 된다. 여성의 어린 시절 성불평등 경험들은 피해의식이 아닌 여성주의 학습 동아리 활동, 여성단체 참여 과정에서 경험의 공유를 통해 지지받게 되면서 긍정적 경험으로 치환하게 된다. 여성학을 대학원 전공으로 선택해 공부하면서 나를 설명해 줄 이론을 갖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세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된다. 여성으로서 현재의 상황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성찰의 과정을 통해서 논문이라는 결실을 맺게 되었다. 여성주의 이론을 학습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가부장적인 사회·구조로 인해 여성들은 갈등하고 때로는 저항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게 된다. 연애과정에서의 권력관계, 성차별적인 직장문화, 가족 제도 안에서 성역할로 인한 어려움, 남편의 터전에 이식되어서 경력이 단절되는 등의 여성들은 불평등한 현실에 대한 갈등을 하게 된다. 여성주의자들은 경험을 통한 학습 과정에서 긍정적 자아를 형성하게 되며, 이는 기존의 가치관과 통합하여 더욱 성숙되어 변화시켰다. 이러한 일련의 학습과 실천 과정에서 여성주의자로서의 정체성은 머물러 있는 정지 상태가 아닌 지속적으로 구성·재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평생교육과 여성 삶의 만남은 일상생활에서의 실천과 관련되어 있다. 여성주의 교육은 일상생활의 변화를 통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변화까지 야기할 수 있다. 남편과의 갈등을 통한 성역할 조율, 시부모님과의 협상, 자녀교육에서 성평등 실천, 성평등 교육과 정책 참여 등 참여자들은 끊임없이 성불평등 요인에 대해 고민과 협상하는 과정을 통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여성주의자들은 일상적 학습을 통해서 불평등한 요소들을 찾고, 가정과 사회에서 성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나로부터 시작하는 일상의 정치가 가능했고, 일상의 모든 것을 읽을 수 있는 분석도구이자 새로운 삶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 바로 여성주의였던 것이다. 그녀들은 일상에서 이웃과 함께 나누는 삶을 통해 소소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여성주의와 인식전환은 너무 당연하고 개인적인 것에 대한 성찰이 인식 전환을 가져오고, 이것은 사회 변화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는 여성주의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 즉 일상 학습을 통한 정치화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이란 일상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성찰함으로써 인생의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 여성주의자들의 삶은 일상학습, 경험학습, 성찰학습, 실천학습 등의 평생교육의 현장이었으며, 결국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이었다. 이것은 평생교육과 여성주의가 만나는 지점을 발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여성주의 6
2. 여성주의 교육학 11
3. 인식전환 경험 18

Ⅲ. 연구방법 및 과정 26

1. 생애사 연구 26
2. 연구 참여자 28
3. 연구절차 37
4. 연구윤리 확보 44

Ⅳ. 여성주의 인식 형성 맥락 46

1. 결정적 불평등 인식 사건 46
가. 남학생에게 대표성을 부여한 교사 46
나. 막연히 기분 나쁘고 이상한 사건 48
다. 개울가에서 오빠 교복 빨기 51
2. 강요되는 성역할 53
가. 성역할로 인한 갈등 53
나. 고단한 엄마의 삶 55
3. 제도화된 성차별 59
가. 선택할 수 없는 영역 59
나. 부당한 교사의 특혜 61
4. 부모의 열망과 사회의식 64
가. 좌절된 배움의 한 64
나. 공부 잘하는 딸 67
다. 사회문제 의식 69

Ⅴ.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 72

1. 경험과 이론의 만남 72
가. 여성학: 운명처럼 만난 강의 72
나. 여성주의 학습 동아리 75
다. 단체 활동을 통한 참여 77
2. 여성주의와 현실의 갈등 80
가. 연애관계 : 나는 이상한 존재 80
나. 노동시장에서 성차별 82
다. 남편의 터전에 이식된 삶 87
3. 학문으로서 여성학, 성찰 학습 90
가. 여성학 선택하기 90
나.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 93
다. 고민과 성찰의 결실 96

Ⅵ. 여성주의 인식전환을 통한 삶의 변화 99

1. 가족제도에서 성역할 조율 99
2. 자녀교육에서 성평등 실천 103
3. 성평등 교육과 정책 참여 107
4. 일상에서 어우러지는 삶 109

Ⅵ. 논의 및 결론 112

1. 논의 112
가. 여성주의 인식 형성 맥락 : 성별 감수성 학습 112
나.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 : 성찰학습 114
다. 여성주의 인식전환을 통한 삶의 변화 : 실천학습 117
2. 결론 120

참고문헌 125
ABSTRACT 138
<부록 1> 142


표 목차

<표-1> 여성주의 이론 7
<표-2> Mezirow의 전환학습 과정 20
<표-3>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징 31
<표-4> 단계별 분석 과정 40
<표-5> 의미기술문과 주제 분류표(예시) 41
<표-6> 주제별 의미 기술문표(예시) 42

그림 목차

<그림 1>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 11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