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노인의 성인식이 고독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초록/요약

국문초록 우리나라는 2017년에는 전체 인구의 14%가 노인인구로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년기에 인지·정서적으로 경험하는 욕구의 다양화는 노인의 생활과 문화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오는 가운데 노인의 인지적 관점의 성인식도가 정서적 관점의 고독감과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겠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성인식도, 고독감, 우울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노인의 성인식 정도에 따라 노인의 고독감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노인의 성인식 정도에 따라 노인의 우울감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경기도의 성남시, 수원시,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에 거주하는 어르신들로 임의표집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기준은 60세 이상에서 80세 이상까지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각 개인들에게 설문의 취지를 안내하고, 조사에 임해주는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3년 10월14일 ~ 2013년 11월 1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 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부수를 제외한 121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고독감 척도는 Russell, Peplau & Cutrona(1980)가 수정·보완한 UCLA 고독감 척도를 원형중(1994)이 번역·수정한 척도이다. 원형중(1994)은 기존의 UCLA 고독감 척도를 국내 상황에 맞추어 긍정과 부정 각각 5문항씩 총 10문항으로 수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고독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척도는 1번, 5번, 8번, 9번 문항은 역점수화 하여 분석하였다. 우울감 척도는 SheiKh와 Yesvage(1985)가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 : 30개 문항)를 15개 문항으로 단순화하여 구성된 GDS Short from을 기백석(1996)이 한국판 노인 우울척도로 표준화 작업한 한국판 노인우울 척도 단축형(GDSSF-K)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5점 등간척도로 역점수화 문항은 1, 3, 4, 5, 6, 9, 10, 13, 14, 15문항이다. 성인식 척도는 이창은(1999)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성생활 태도 3문항, 성생활 중요도 3문항, 성생활 욕구 4문항으로 총 10문항을 5점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측정값은 점수가 높을수록 성생활에 대한 인식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자료분석 방법은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생활 특성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생활에 대한 특성에 따른 성인식도가 고독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t-test와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성인식도가 노인의 고독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성별과 결혼상태, 성생활 여부는 더미변수화하여 투입하였다. 위의 모든 검증은 SPSS (Window용 통계프로그램 18.0)을 이용하여 분석, 유의수준은 .05 .01수준에서 검증한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전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성인식도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성생활 태도가 적극적이고, 성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성생활 욕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어서도 노인도 성적인 존재로서 능동적인 성생활을 선호한다. 고학력일수록 성인식도가 높고, 고독감과 우울감은 저학력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못했다. 결혼에서 동거상태인 노인들이 성인식도가 높고, 성생활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여건은 여유로울수록 성생활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건강할수록 성인식도, 성생활 태도, 성생활 욕구가 높고, 매우 유의미하였다. 고독감과 우울감은 건강이 나쁠수록 점수가 높고, 우울감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 성생활을 적극적으로 할수록 성인식도가 높게 나타나고, 성인식도와 성생활 태도는 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성생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성생활 중요도도 높고, 성생활 욕구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생활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고독감은 낮아지며, 우울감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생활 중요도가 높을수록 성생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독감 및 우울감과의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생활 욕구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독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고독감에 유의미한 변수들은 성생활 태도와 성생활 중요도이고, 19%의 설명력을 보였다. 넷째, 노인의 우울감에 유의미한 변수들은 생활여건, 건강상태, 성생활 태도로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노인의 성은 단순한 생물학적인 측면보다 감정적이고, 발달적이며, 문화적인 의미에서 한 사람의 자아개념과 자아존중, 정신적·육체적으로 사회 심리적인 건강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것이 된다.그러므로 성인식을 향상시키고, 노인의 고독과 우울을 해결할 수 있는 노인들 성에 관한 교육정보와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현실적인 개선방안의 모색과 실천적 발전을 노력해야 한다. 또한 노인의 성생활 상담이 활성화되어 노년기의 성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논의와 관심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폐쇄성이 성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도외시하므로 질문지 답변에 대한 신뢰성에도 한계가 있었고, 아직은 우리 사회의 특히 노인을 대상으로 성을 연구한다는 것은 선입견과 불편한 조사과정을 필할 수 없었다.

more

목차

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문제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4

제 1 절. 노인의 성 4
1. 노인의 성 개념과 중요성 4
2. 노인의 성인식 7

제 2 절. 노인의 고독과 우울 9
1. 노인의 고독감 9
2. 노인의 우울감 11

제 3 절. 선행연구 검토 12
1. 노인의 성인식과 고독감 12
2. 노인의 성인식과 우울감 13

제 3 장 연구 방법 14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 14
제 2 절. 조사대상자 및 연구절차 15
제 3 절. 조사 도구 15
제 4 절. 자료 분석 방법 17


제 4 장 연구결과 및 분석 18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특성 18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8
2. 조사대상자의 성생활 관련 특성 20

제 2 절. 주요변인의 기술적 통계 21

제 3 절.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2
1.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2
2.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4
3. 학력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5
4. 결혼상태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6
5. 생활여건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6
6. 건강상태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7
7. 성생활 여부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9

제 4 절. 노인의 성인식이 고독감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30
1. 주요변인 간의 상관분석 30
2. 노인의 성인식이 고독감에 미치는 효과 31
3. 노인의 성인식이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 32

제 5 장 결론 및 논의 34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34
제 2 절. 논의 및 제언 36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37

참고문헌 38

설문지 42




표 목 차

<그림 1> 연구모형 14
<표 1> 척도 신뢰도 분석 16
<표 2>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9
<표 3> 조사대상자의 성생활 관련 특성 21
<표 4> 주요변인의 기술적 통계 22
<표 5-1>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3
<표 5-2> 연령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4
<표 5-3> 학력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5
<표 5-4> 결혼상태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6
<표 5-5> 생활여건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7
<표 5-6> 건강상태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8
<표 5-7> 성생활 여부에 따른 주요변인의 차이 29
<표 6> 조사대상자의 주요변인 간의 상관분석 30
<표 7> 고독감에 대한 회귀분석 32
<표 8> 우울감에 대한 회귀분석 33




more